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챗GPT로 120만원 아꼈어요"…항공권 예매 무슨 수 썼길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숨겨진 경유 노선·대체 공항·에러 페어·반짝 세일 등 발굴

인공지능(AI)인 챗GPT의 도움을 받아 120만원 상당의 항공료를 절약한 미국 남성의 사연이 화제다. 그는 챗GPT를 통해 기존 검색 엔진으로는 찾기 어려운 대체 공항, 저비용 항공사, 경유지 조합 등 이른바 '숨은 루트'를 발굴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챗GPT는 나만의 여행사"…항공권 140만원→12만원
AI로 생성한 이미지로 해당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ChatGPT

AI로 생성한 이미지로 해당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ChatGPT

AD
원본보기 아이콘

지난 8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미국 시카고의 개인 금융 콘텐츠 제작자 캐스퍼 오팔라는 최근 챗GPT를 이용해 820파운드(약 140만원)짜리 항공권을 70파운드(약 12만원)에 구매했다. 그는 챗GPT를 "나만의 여행사"라고 부르며 "스카이스캐너보다 더 많은 숨은 루트를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간단한 지시문으로 '숨은 항공편' 발굴

오팔라가 사용한 방법은 단순하다. 출발지와 도착지, 여행 기간을 입력해 숨겨진 경유 노선, 대체 공항, 저비용 항공사, 에러 페어(항공사 실수 요금), 반짝 세일 등을 포함해 찾아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다. 여기에 "가격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며칠간 모니터링해 알려달라"라는 지시를 추가해 실시간 감시 기능까지 구현했다.


그는 "28%의 항공편이 구글에 노출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AI 검색이 이런 항공편 발굴에 특히 유용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일부 여행자들은 이 방법으로 국내 저비용 항공이나 직항 노선을 우회한 경유 노선을 찾아 수십만 원을 절약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픽사베이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AI는 도구, 최종 검증은 필수"

전문가들은 챗GPT가 최신 데이터를 반영하지 못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노선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어 반드시 항공사 공식 홈페이지나 구글 플라이트 등에서 재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특히 티켓 예약 시 환승 시간과 연결편 보장 여부를 점검하고 환불 규정과 보험 조건도 사전 확인이 필요하다.





서지영 기자 zo2zo2zo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