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김 여사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 준비에 집중하고 있다.
10일 법조계에 따르면 민중기 특검과 김형근·문홍주·박상진·오정희 특검보는 이날 전원 사무실에 출근해 영장실질심사를 준비하고 있다. 특검팀은 영장실질심사에서 김 여사가 구속되지 않을 경우, 주변인과 함께 증거 인멸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강조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영장실질심사에서 특검팀은 김 여사가 이미 주요 증거를 인멸할 정황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김 여사는 지난 4월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인용되기 직전 코바나컨텐츠 사무실의 노트북을 포맷했고, 탄핵 후엔 휴대전화를 바꾸고 수사기관에 압수한 휴대전화의 비밀번호를 알려주지 않기도 했다.
또 '문고리'로 불리는 유경옥·정지원 전 대통령실 행정관도 특검 수사 전후로 휴대전화를 초기화했고, 특검팀은 이 역시 증거인멸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검팀은 특히나 김 여사가 지난 6일 첫 소환조사에서 보인 태도를 고려할 때 증거 인멸을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례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 특검팀은 김 여사와 증권사 직원 간 통화 녹음파일 등을 토대로 김 여사가 2010년 '1차 작전시기' 주포인 이모씨에게 16억원이 든 증권계좌를 맡겼고, 이후 손실보전금 4700만원을 받았다고 판단했다. 이후 남은 주식을 처분하기 위해 이종호 전 대표가 운영한 블랙펄인베스트에 20억원 상당의 계좌를 맡기면서 수익의 40%를 주기로 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 여사는 2012년께 주가를 방어하기 위해 차명거래도 했다는 게 특검팀의 시각이다. 특검팀은 이를 통해 김 여사가 취한 시세 차익을 8억1144만3596원으로 산정했다.
하지만 김 여사는 조사에서 '주가조작이 이뤄지고 있다고 의심하지 않았다', '손실보전 약정을 한 사실이 없고 4700만원은 다른 약정에 따른 거래였다', '계좌를 맡기긴 했지만 돈을 잃었다' 등의 해명을 내 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공천개입 의혹과 관련해선 김 여사가 2021년 6월26일∼2022년 3월2일 명태균씨로부터 2억7440만원 상당의 공표용 여론조사 36회, 비공표용 22회의 결과를 무상으로 받은 사실을 파악했다. 명씨는 이후 2022년 3월 중순 윤 전 대통령 부부를 찾아 이를 거론하며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의 공천을 요구했고, 이후 윤 전 대통령이 단수공천을 지시했다고 특검팀은 봤다.
특검팀은 김 여사 구속영장에 이를 명시하면서 '정당의 민주적 운영이라는 헌법적 가치를 훼손했다'고 지적했지만, 김 여사는 조사에서 '명씨가 보내주는 여론조사 결과를 상품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여론조사 결과를 먼저 알았다고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고 보는 것은 부당하다'는 취지로 반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