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고교 자퇴하고 수능 올인"…가장 많은 곳 '강남3구'

'내신 성적 부담'에 강남·서초·송파 자퇴 늘어

서울에서 일반 고등학교를 다니다가 자퇴한 학생이 가장 많은 지역은 '강남 3구'로 불리는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로 드러났다.


연합뉴스는 10일 한국교육개발원의 행정구역별 학업중단율 통계를 인용해 지난해 서울에서 일반고 학업중단율이 가장 높은 3곳은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라고 보도했다.


서울에서 일반 고등학교를 다니다가 자퇴한 학생이 가장 많은 지역은 '강남 3구'로 불리는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로 드러났다.
서울에서 일반 고등학교를 다니다가 자퇴한 학생이 가장 많은 지역은 '강남 3구'로 불리는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로 드러났다.
강남 8학군 지역인 강남구와 서초구가 2.7%로 가장 높았고 송파구가 2.1%로 뒤를 이었다. 이는 재학생 100명 가운데 최소 2명은 중도에 학교를 그만둔다는 의미다.
강남 3구 일반고 재학생들이 학교를 그만두는 주된 이유로는 내신 성적 부담이 꼽힌다.

강남 8학군 지역인 강남구와 서초구가 2.7%로 가장 높았고 송파구가 2.1%로 뒤를 이었다. 이는 재학생 100명 가운데 최소 2명은 중도에 학교를 그만둔다는 의미다. 한 학년이 300명인 학교라면 학년별로 평균 6~8명이 공교육을 포기하는 셈이다.


이들 지역 내 일반고 학생의 학업중단율은 최근 지속 증가 추세다. 2021년 강남구의 학업중단율은 1.4%였는데, 2022년 1.9%, 2023년 2.2%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에 2.7%까지 올랐다. 서초구도 2021년 1.3%에서 2022년 2.4%로 상승했다. 2023년 1.8%로 감소했다가 지난해 다시 증가했다.


강남 3구 일반고 재학생들이 학교를 그만두는 주된 이유로는 내신 성적 부담이 꼽힌다.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중간·기말고사에서 한 번이라도 낮은 점수를 받았다면 내신 점수를 회복하기 어려워져 차라리 학교를 그만두고 검정고시를 본 뒤 수능 성적을 바탕으로만 대학에 진학하겠다는 것이다.


올해 SKY 대학 검정고시 출신 37% 증가

실제로 올해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의 신입생 중 검정고시 출신은 259명으로, 지난해보다 37%(70명) 늘었다. 이는 최근 8년 내 가장 많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향후 학업중단율이 더 높아질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올해는 고1부터 내신 등급 구간이 올해부터 9등급에서 5등급으로 넓어져 상위권 학생 간 변별력이 크게 낮아졌기 때문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5등급제에서는 상위 10% 안에 들지 못하면 곧바로 11~34% 구간인 2등급으로 떨어진다"며 "지난 1학기 때 1등급을 받지 못한 학생들은 자퇴 여부를 두고 고민이 상당히 깊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재수 전문학원 사이에서는 수능과 검정고시를 병행하는 '패키지 수업'이 등장했다. 양지비상에듀, 광릉한샘기숙학원 등은 검정고시와 수능을 대비한 재수종합반 커리큘럼을 지난해 9월 선보였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