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국가보훈부와 업무협약 체결
임종룡 회장, 은행의 '공공성' 강조
전 그룹사 보훈문화 확산 위한 마케팅 지원
보훈부 기부 플랫폼 '모두의 보훈드림' 알리기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과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독립유공자 지원 및 보훈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체결한 뒤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우리은행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지시로 우리금융 전 그룹사가 올해는 독립유공자와 취약계층에 대한 주거복지 지원을 2배로 확대한다. 1899년 설립된 '민족은행'이라는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분야라는 판단에서다.
11일 우리금융에 따르면 임종룡 회장은 전 그룹사의 인력, 인프라, 마케팅 능력을 활용해 국가보훈부(보훈부)의 기부 플랫폼 '모두의 보훈드림'을 홍보하라고 지시했다. 우리금융은 현재 본점 전광판, 고객용 TV, 유튜브 등을 통해 '모두의 보훈드림' 홍보에 나서고 있다.
'모두의 보훈드림'은 보훈부가 올해부터 운영하는 온라인 기부플랫폼이다.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국가유공자 예우 강화 및 보훈 문화 확산이라는 정부 국정과제의 일환으로 기부 문화 조성을 위해 만들었다.
최근 우리은행이 보도자료를 배포한 '우리 광복 80주년' 특별적금도 이 일환으로 출시됐다. 가입 시 계좌당 815원이 기부된다. 단순히 일회성 캠페인이 아니라 보훈부의 '모두의 보훈드림'과 연계해 체계적으로 협력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임 회장이 보훈부와 협력하는 캠페인을 강조하는 이유는 우리금융의 정체성 때문이다. 우리금융은 1899년 고종 황제가 내탕금을 하사해 설립된 대한천일은행에서 시작됐다. 당시 '화폐 융통은 상공업을 살리는 길'이라는 이념을 내세웠다.

1899년 3월 6일에 작성된 대한천일은행 설립초기 정관청원서 및 탁지부 대신의 인가서로 현재 가장 오래된 우리나라 회사정관 청원서이다. 대한천일은행은 우리은행의 전신이다. 사진=우리은행
원본보기 아이콘이에 1950년 한국전쟁 기간에도 국가 금융시스템 유지를 위해 부산에 임시사무소를 설치해 업무를 지원했다. 현재에도 국내 은행 최대인 11개 대기업의 주채무계열 은행으로 남아있다. 은행권에서 우리은행은 전통적으로 기업금융이 강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우리은행은 1999년 IMF 당시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이 대등 합병을 통해 탄생한 한빛은행이다. 2002년 사명을 '우리은행'으로 개명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임 회장이 보훈부의 기부플랫폼 마케팅과 관련해 전 그룹사에 협조를 요청한 배경이다.
실제 임 회장은 "IMF 때 국민들의 도움으로 살아난 우리금융이기에 우리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 이바지해야 한다는 사명감을 지니고 사회공헌 사업에 진심을 보여야 한다"는 말을 자주 꺼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연장선에서 은행의 '공공성'에 대해 누구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민간이 실천할 수 있는 범위에서 '사회적 보훈'을 확장하고 있다"며 "17개 전 그룹사와 산하 복지재단들을 통해 100여개가 넘는 공익사업들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