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한국 직접투자 늘리는 중국… "美 규제 회피·韓 기술 활용 목적"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지난해 중국 직접 투자액 약 68억달러
147% 급증해 日·美 앞지르고 1위 기록

지역 경제 활성화, 공급망 안정화 효과
"우회 수출, 기술 유출 등은 대응해야"

중국이 미국의 대중 규제를 우회하면서 한국 산업 인프라와 기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배터리 등 첨단 제조업을 중심으로 대한국 직접 투자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투자가 국내 지역 및 산업 육성에 이점이 될 수 있지만 기술 유출 등의 우려가 생길 수도 있는 만큼 업종별 관리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왔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8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발간한 '최근 중국의 대한국 투자 증가 배경 및 시사점'을 보면, 지난해 중국의 대한국 직접투자 신고액(홍콩 포함)은 전년 대비 147.4% 급증한 67억9400만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미국(52억4000만달러) 투자액보다 큰 규모로, 이로써 중국이 지난 7년간 대한국 투자 1위였던 미국을 추월하게 됐다. 한국 외국인직접투자(FDI)에서 중국 비중은 지난해 19.6%까지 치솟으며 일본(17.7%), 미국(15.2%) 등을 앞질렀다.


반면 지난해 중국의 대한국 직접투자 도착액(실제 집행액)은 12억3000만달러로 한국 FDI 전체 순위에서 6위(7.0%)에 그쳤다. 도착액 기준으로는 몰타(14.3%), 싱가포르(12.5%), 일본(10.2%), 미국(9.9%) 순으로 많았다.


도착액의 77.7%는 제조업(9억6448만달러)으로 흘러갔다. 전체 도착액에서 ▲전기·전자(33.3%) ▲의약(33.3%) ▲기계장비·의료정밀(3.6%) 등의 제조업 비중이 두드러졌다. 서비스업 비중은 2010년대 초반에 82%에 육박했지만 지난해 21.6%에 그쳤다.

보고서는 "지난해 실제 투자는 의약품 제조업을 제외하면 일차전지 및 축전지, LCD 제조업과 같이 전략적·기술적 중요도가 높은 업종에서 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짚었다.


또 "최근 개별 투자 프로젝트를 살펴보면 새만금을 중심으로 중국 배터리 기업의 대규모 투자가 이뤄졌다"며 "비야디(BYD), 지커(??) 등의 전기차와 알리바바, 테무 등 유통·물류 기업도 한국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대한국 투자가 늘어나는 데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다. 보고서는 "중국은 미국이 중국을 외국우려기관(FEOC)으로 지정한 후 대중 규제를 우회하기 위해 한국 진출을 보다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미·중 갈등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대한국 투자 증가는 기술 활용, 생산 및 진출 확보 등의 목적을 내포한다"며 "한국과의 경제적 연결 고리를 강화하려는 전략적 필요성도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짚었다.


실제 중국은 우리나라 첨단 산업 인프라와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최근 몇 년간 첨단 제조업을 중심으로 대한국 투자를 늘리고 있다. 지난해 중국의 대한국 직접투자 신고액의 18.5%(12억5900만달러)가 배터리 분야로 흘러간 것이 주요 사례다.


한국 직접투자 늘리는 중국… "美 규제 회피·韓 기술 활용 목적" 원본보기 아이콘

다만 미국의 대중 견제 강화에 따른 규제 불확실성과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이 영향을 미치면서 신고액과 도착액 간 격차가 커졌다는 게 보고서 평가다. SK온과 에코프로, 중국 GEM은 2023년 새만금에 전구체 공장을 설립한다고 밝혔지만 이후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보고서는 중국의 대한국 투자를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공급망을 안정화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봤다. 특히 배터리와 반도체 등 전략 산업의 핵심 소재인 흑연 등의 수입을 대부분 중국에 의존하는 만큼 협력 이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기업의 진출로 국내 동일 품목 생산 기업의 경쟁력이 낮아지거나 기술 유출 우려, 미국의 고율 관세 부 가능성 등의 리스크는 관리 요인으로 꼽힌다. 보고서는 "정부가 업종별 투자 유치 및 관리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배터리, 반도체 등 외부 규제에 민감한 업종 관련 우회 수출 목적 투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기술 유출 방지 등 지속 가능한 협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세종=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