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채상병 순직사건 수사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이원모 전 대통령실 인사비서관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정민영 특검보는 8일 정례브리핑에서 "이 전 비서관 압수수색은 어제(7일) 집행됐고 신체와 차량이 압수 범위라서 휴대전화를 압수했다"며 "자택은 대상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정 특검보는 압수수색 착수 배경에 대해서는 "이 전 비서관 재임 당시 인사비서관실과 외교부 사이에서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관련 논의가 진행된 정황을 확인했다"고 했다.
이 전 비서관은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부터 2024년 1월까지 대통령의 인사권 행사를 보좌하는 인사비서관을 지냈고, 출금 상태였던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관련 인사검증 업무에도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이 전 장관의 호주 '도피 출국' 의혹 수사와 관련해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나흘 연속 진행된 압수수색을 마쳤다. 대통령기록관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법무부·외교부 일부 사무실, 해당 업무 관계 대통령실과 법무부·외교부 관계자들이 압수수색 대상이 됐다고 설명했다.
정 특검보는 "대통령실과 법무부 인사정보관리단의 인사검증, 외교부 자격심사, 법무부 출금해제 과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됐는지 살펴보고 있다"며 "압수수색 대상이 됐던 주요 피의자들에 대해선 압수물 분석 이후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특검팀은 이번 압수수색 대상이 된 인물들이 모두 피의자 신분이라고 밝혔다.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과 장호진 전 국가안보실장,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심우정 전 검찰총장,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 박행열 전 인사정보관리단장, 이재유 전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 등이 이 사건과 관련해 압수수색을 받았다.
한편 특검팀이 확보한 김건희 여사의 비화폰에는 2023년의 통신 기록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 특검보는 "대통령 경호처 서버에 저장된 통신내역 상으로는 2023년 내역이 없었다"며 고의적으로 삭제한 정황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 파악하고 있다"고 했다.
곽민재 기자 mjkwak@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