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로 美 평균 관세율 2.3%→15.2%
한국 포함 주요국, 고율 관세 수용해
미국 내에서 성장 둔화 우려도 커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밀어붙인 '상호관세' 정책이 주요 교역국을 상대로 속속 적용되면서,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EU) 등은 15% 관세율에 합의했지만, 중국과 캐나다, 멕시코 등은 여전히 협상을 진행 중이다.
블룸버그는 7일(현지시간) "미국이 사실상 대부분의 교역국에 기존보다 훨씬 높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며 "이로 인해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기존 2.3%에서 15.2%로 올라갔다"고 보도했다. 미국 내 주요 외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수십 년간 이어온 국제 무역 질서를 근본적으로 흔들고 있다"며 "새로운 무역 경쟁 시대의 신호탄"이라고 평가했다.
스위스는 선진국 중 최고 수준인 39%의 관세를 통보받았고, 인도는 러시아산 석유 수입에 대한 보복 조치로 50%의 고율 관세를 맞았다. 미국이 전략적 경쟁자로 지목한 중국과 인접국인 캐나다·멕시코는 여전히 협상 테이블에 머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적자 축소와 미국 제조업 부활을 내세우고 있지만, 미국 내에서는 고물가와 성장 둔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고용 지표 하향 수정, 경기 둔화 조짐 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월가에서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의 10~15% 하락 가능성도 제기됐다.
호주 오클랜드대는 이번 조치로 미국 국내총생산(GDP)이 0.36%, 한국 GDP가 0.29%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 재무부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관세 수입은 역대 최고인 1130억달러(약 15조6000억원)에 달했지만, 전문가들은 "관세 수입과 일자리 창출은 양립하기 어렵다"며 정책의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