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 경매지표 약세 전환
서울 낙찰가율 올 2월 이후 최저치
고가 아파트 낙찰이 줄고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7월 아파트 경매 시장은 낙찰가율·낙찰률·응찰자 수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경·공매 정보업체 지지옥션이 7일 발표한 '2025년 7월 경매동향보고서'를 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경매는 총 3277건 진행됐다. 전달(3013건)보다 9% 늘었지만, 실제 낙찰로 이어진 비율(낙찰률)은 39.9%로 2.8%포인트 떨어졌다.
낙찰가율은 85.9%로 3개월 동안 유지되던 87%선 아래로 내려왔다.
경매 한 건당 평균 응찰자 수는 7.9명으로 전달(8.5명)보다 소폭 줄었다.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은 95.7%로 전달보다 2.8%포인트 낮아졌다. 지난 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낙찰률도 43.4%로 떨어졌고, 평균 응찰자 수는 7.8명으로 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지옥션은 "정부의 6·27 대책 이후 대출 한도가 줄고, 투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서울 경매 지표가 전반적으로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경기 지역 아파트 낙찰률은 49.5%, 낙찰가율은 87.7%로 모두 전달보다 낮아졌다. 특히 1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의 낙찰가율이 91.5%로 8.1%포인트 급락하며 전체 평균을 끌어내렸다. 수도권에서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최대 6억원으로 제한된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인천은 낙찰률이 43.1%로 전달보다 2.7%포인트 올랐지만, 낙찰가율은 77.3%로 2개월 연속 하락했다. 평균 응찰자 수도 6.9명으로 줄어 지난해 12월 이후 가장 낮았다.
지방에서는 세종과 광주 아파트 낙찰가율이 크게 떨어졌다.
세종은 86.0%로 전달보다 6.4%포인트, 광주는 75.6%로 8.3%포인트 낮아졌다. 광주 낙찰가율은 2023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반면 대전은 75.8%로 8.8%포인트, 울산은 89.3%로 4.1%포인트 상승하며 일부 회복세를 보였다.
8개 도 가운데서는 충남(84.6%), 경북(83.6%), 전남(78.5%) 등이 낙찰가율이 올랐고, 강원(87.3%), 제주(83.5%), 전북(85.7%)은 하락했다. 경남은 80.7%로 변동이 없었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