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후 82일 만에 트럼프 대통령과 대면 회담…24~26일 방미
대통령실 "한반도 평화 구축과 비핵화 공조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
반도체, 배터리, 조선업 등 경제 협력 논의도 이어질 듯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취임 후 82일 만에 첫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 대통령은 지난 6월 6일 트럼프 대통령과 첫 통화를 한 이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를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과 대면 회담을 추진했으나 이스라엘-이란 무력 충돌 등으로 중동 정세가 급변하면서 번번이 불발됐다.
12일 대통령실은 이 대통령이 25일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대통령실 브리핑을 통해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으로 24~26일 미국을 방문할 계획"이라면서 "이번 회담은 한미 정상 간 첫 대면으로 두 정상은 변화하는 국제 안보 및 경제 환경에 대응해 한미 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강 대변인은 이어 "굳건한 한미 연합 방위 태세를 더욱 강화해 나가는 가운데 한반도의 평화 구축과 비핵화를 위한 공조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게 될 것"이라며 "두 정상은 이번에 타결된 관세협상을 바탕으로 반도체, 배터리, 조선업 등 제조업 분야 포함한 경제 협력과 첨단 기술 핵심 광물 등 경제안보 파트너십을 양국 간 더욱 강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미 백악관에서 열릴 트럼프 정상회담 이외에 업무 오찬 등 여타 일정에 대해서는 확정되는 대로 알리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공동성명을 내놓을지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한국 정부는 합의문 도출을 목표로 정상회담 직전까지 미국 정부와 협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공동성명이 발표된다면 지난달 31일 극적 타결로 마무리된 '상호 관세 협상'의 세부 내용을 비롯해 한미 동맹, 한·미·일 안보 협력 등 안보 이슈가 두루 담길 가능성이 있다.
통상과 관련해서는 이번 상호 관세 협상에서 한국 정부가 제시한 3500억달러(약 485조원) 규모의 대미(對美) 투자펀드 운용을 보다 구체화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대미 투자펀드 이외에 민간 기업의 기존 투자계획과 신규 투자계획도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통상 협상 타결 소식을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한국의 대미 투자 금액은 2주 이내 백악관에서 양자 회담 때 발표할 것"이라고 했다.
국방비 증액과 주한미군 방위비분담금특별협정(SMA)을 포함해 대중국 전략 등 국방·안보 이슈도 통상 협상 테이블에서 다뤄지지 않은 만큼 이번 정상회담에서 다뤄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이들 안보 현안을 '한미동맹 현대화'라는 의제를 띄워 부각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한미동맹 현대화는 주한미군의 규모와 역할 변화를 비롯해 국방비 증액,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등까지 다양한 쟁점을 포괄하는 주제다.
한국 정부는 한미동맹 현대화라는 주제가 여러 이슈를 포함하고 있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점진적으로 풀어가겠다는 계획이다. 대통령실도 내부적으로는 한국의 기여를 늘리는 방안을 지렛대 삼아 여러 쟁점에서 목소리를 높이며 협의를 진행하겠다는 의지가 감지된다. 또한 주한미군 규모와 역할 변화 등과 관련해 미국 조야의 시각이 제각각인 만큼 추이를 살피며 유연하게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2년 5월 21일 취임 후 11일 만에 방한한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과 만났고, 문재인 전 대통령은 취임 51일째였던 2017년 6월 30일 미국을 찾아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다. 박근혜(71일), 이명박(54일), 노무현(79일) 등 역대 대통령들도 비교적 이른 시간 미국 정상을 찾았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