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애플, 140조원 추가투자…트럼프 만족시킨 팀 쿡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4년간 총 630조원 美투자
반도체칩 관세 일부 면제
아이폰 생산기지 이전엔 선 그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1000억달러의 대미 추가 투자를 발표한 후 악수를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1000억달러의 대미 추가 투자를 발표한 후 악수를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애플이 1000억달러(약 140조원) 규모의 대미 추가 투자를 발표하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미 제조업 재건' 정책 기조에 발을 맞췄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선물 꾸러미를 안김으로써 해외 아이폰 기지를 이전하지 않고도 '관세 완화' 효과를 추구할 수 있게 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쿡 CEO가 참석한 가운데 이 같은 내용의 애플의 대미 투자 계획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을 미국에서 만들게 하는 중요한 한 걸음이 될 것"이라고 치켜세웠고, 쿡 CEO는 '애플' 로고와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이 적힌 유리판을 24K 금 받침대에 얹은 모양의 기념 선물을 마련했다.

이번 투자로 애플의 대미 투자액은 지난 2월 발표한 5000억달러에서 1000억달러(140조원) 늘어난 6000억달러(832조원)로 확정됐다. 향후 4년간 애플은 2만명을 직접 고용하고 제조·공급망·연구개발(R&D)을 강화한다. 핵심 부품 생산과 반도체 패키징, 데이터센터 운영까지 미국 중심으로 전환할 계획으로 이 과정에서 삼성전자를 비롯해 10개 기업과도 협력한다.


애플은 그 대가로 관세를 일부 면제받을 수 있게 됐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해외에서 생산된 반도체 칩에 100%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에서도 일부 면제 조치를 약속받았다. 미 정치매체 악시오스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 6월 분기 관세로 8억달러(약 1조원)의 비용을 부담했다. 이번 분기에는 11억달러(약 1조5000억원)까지 비용 부담이 늘어날 전망이다.


더 중요한 것은 쿡 CEO가 중국·인도 등의 아이폰 제조기지를 미국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비판해 온 트럼프 대통령을 만족시켰다는 대목이다. 쿡 CEO는 이날 아이폰 조립을 두고 "당분간은 미국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생산될 것"이라며 선을 그었다.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증권 분석가는 미국에서 아이폰 생산 시 가격이 3500달러까지 치솟고 생산에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실제로 시장이 이번 발표에 호응하면서 애플 주가는 5.09% 오른 213.25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낸시 탱글러 래퍼 탱글러 인베스트먼트 CEO는 CBS에 "트럼프 대통령의 아이폰 전량 미국 생산 요구에 대한 애플의 영리한 대응"이라며 "주가가 오른 것은 쿡 CEO가 그동안의 침묵을 깨고 화해 제스처를 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국가별 무역협상과 관련해 관세 효과가 긍정적일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향후 미국 경제 성장 전망에 대한 질문에 "전례 없을(unprecedented) 것"이라며 "설비시설이 늘어나고 대규모로 공장이 세워질 것이며, 특히 인공지능(AI)의 경우 막대한 전력을 필요로 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전력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