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냄새는 일종의 '페로몬' 역할해
日기업 '신생아 머리 냄새' 향수 출시
많은 이들이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아기의 냄새를 맡는 것을 좋아하는 가운데 후각은 갓 태어난 아기와 엄마에게 그 무엇보다 중요한 감각이다. 서로의 존재를 인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1987년에 진행된 고전적 연구는 엄마의 90%가 갓 태어난 아기를 냄새만으로 찾을 수 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이후 이루어진 연구에서 아기의 냄새를 맡은 사람의 기분은 물론 행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기도 했다. 그러나 이 좋은 냄새를 맡을 수 있는 기간은 아주 잠시다. 생후 약 6주가 지나면 점차 이 냄새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아기 냄새를 좋아한다는 것에 착안해 최근 일본에서는 신생아의 머리에서 나는 '좋은 냄새'를 그대로 재현한 향수가 나왔다. 이 제품은 출시 후 입소문을 타고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지난 6월 중순 출시된 이 향수는 입소문을 타며 현재 동난 상태다. 해당 향수를 만든 제조사 측은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이달 중순이 지나서야 재입고된다고 공지했다. 이 향수를 두고 일부 해외 누리꾼은 "미국 등 해외에서는 살 수 없냐"는 반응이 나오기도 했다. 특히 해당 향기를 맡은 사람은 "뭔가 안정되는 느낌이 든다"고 평가했다.
인기를 끈 이 향수는 고베대학교발 벤처기업 센츠페스(Sentsfes)가 지난 6월 15일 출시한 '푸퐁 퓨어'(Poupon pure)다. 센츠페스 측은 "신생아의 머리 냄새를 화학 분석해 진짜 아기의 냄새를 재현한 세계 최초의 향료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푸퐁'은 프랑스어로 갓난아기를 뜻한다. 푸퐁 퓨어는 꽃향기와 과일 향이 균형 있게 어우러진 향이다. 따뜻함과 상쾌함이 느껴지면서도 지나치게 강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이 향수는 고베대 오자키 마미코 명예교수가 "육아 중인 부모가 아기의 머리와 엉덩이 냄새를 자주 맡는다"는 논문에서 힌트를 얻어 탄생했다. 오자키 교수는 이후 하마마쓰 의과대학 부속병원 의료진과 임산부들의 협조를 얻어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아기 약 20명의 머리 냄새를 채취해 성분을 조사했다. 그 결과 총 37가지 냄새 성분을 밝혀냈고,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꽃과 감귤류 과일 등 20가지 이상의 성분을 조합해 '아기 냄새' 향을 재현해냈다. 대학생·부모·조부모·보육사 등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시향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뇌의 특정 부위가 활성화되며 "기분 좋다". "계속 맡고 싶다"는 반응이 나왔다.
아기 냄새, 여성의 보호 본능 자극하고 남성의 공격성 줄여
곤충이 냄새로 대화한다는 것을 수십년간 연구해온 오자키 교수는 말을 못 하는 아기 역시 부모에게 다정한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하기 위해 이 향을 뿜어낸다고 봤다. 오자키 교수는 아이 두피에서 나는 냄새를 일종의 '페로몬'으로 규정했다. "사람의 체취 속에도 좋은 냄새가 있다. 그중에서도 꽃향기 같은 냄새가 특징인 노나날이라는 성분이 포함돼 있다"라며 "그게 아기들에게 가장 많이 들어 있었다"고 설명했다.

와이즈만과학연구소는 이 물질이 여성에겐 보호본능을 자극하고, 남성에겐 공격성을 누그러뜨리는 역할을 한다고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오자키 교수 뿐 아니라 앞서 지난 2021년 이스라엘 와이즈만과학연구소 또한 아기들의 두피에서 배출되는 '헥사데카날'(HEX)이라는 이름의 무색무취한 휘발성 화학물질에 대해 연구했다. 와이즈만과학연구소는 이 물질이 여성에겐 보호본능을 자극하고, 남성에겐 공격성을 누그러뜨리는 역할을 한다고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당시 연구를 이끈 노암 소벨 신경과학 박사는 "이 화학물질이 페로몬이라고는 단정할 수는 없지만, 인간의 행동, 특히 공격적 행동에 일정하게 영향을 주는 인체 분비물이라고는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헥사데카날은 피부나 침, 대변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된다. 특히 아기들의 경우엔 주로 두피에서 이 물질이 나온다. 연구진은 헥사데카날의 역할은 아기의 생존 전략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추론했다. 함께 연구를 진행한 에바 미쇼르 박사는 "아기가 자신의 뽀송뽀송한 솜털투성이 머리 냄새를 맡는 성인에게 이 화학물질을 분비함으로써 자신에게 유리한 행동을 하도록 유도한다"고 설명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