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M 비제조업 PMI, 6월 50.8→7월 50.1
물가 압력 상승…비용지급지수, 2022년 10월 이후 최고
지난달 미국의 서비스업 경기가 사실상 정체되며 시장 예상치를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주문은 정체됐고 고용은 위축됐다. 공격적인 관세 정책의 여파가 서비스업에도 드리우며 경기 둔화 우려가 다시 고조되고 있다.
5일(현지시간) 미 공급관리협회(ISM)는 7월 비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1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월(50.8)보다 0.7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시장 전망치(51.5)를 크게 밑돌았다.
PMI는 5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경기 확장, 이하면 경기 위축을 의미한다. 7월 수치는 간신히 50을 넘기며 확장세를 유지했지만 실질적으로는 경기가 멈춰선 상태에 가깝다.
세부 지표를 살펴보면 신규 주문 지수는 6월 51.3에서 7월 50.3으로 하락했다. 고용 지수는 같은 기간 47.2에서 46.4로 떨어지며 지난 3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1일 미 노동부가 발표한 7월 비농업 고용 부진 흐름과 일치한다. 7월 비농업 신규 고용은 7만3000건 증가에 그쳐 전망치(10만6000건)를 크게 밑돌았다.
물가 압력은 오히려 높아졌다. 비용지급지수는 6월 67.5에서 7월 69.9로 올라 2022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66.5)도 크게 웃돌았다.
전문가들은 서비스업에서 신규 주문이 줄고, 비용이 상승하면서 기업들이 고용을 줄이는 등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한다. 미 경제의 약 70%를 차지하는 서비스업 부진은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를 더욱 키우고 있다.
고용과 서비스업 지표가 잇달아 악화되면서 시장은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9월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르네상스 매크로 리서치의 닐 두타 매니징 디렉터는 "고용이 둔화되고 있다면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것이라 예상하기 어렵다"며 "가계가 물가 상승을 흡수할 만큼 수요가 충분히 강력하지 않은 만큼 선제적인 금리 인하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Fed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연 4.25~4.5%에서 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은 이날 현재 90%에 가깝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