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뉴욕증시, 장 초반 하락…트럼프 관세 예고·서비스업 지표 부진 여파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7월 서비스업 지표 부진에 경기 둔화 우려
트럼프 "다음 주 반도체·의약품 관세 발표"

미국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5일(현지시간) 장 초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7월 서비스업 지표 부진에 더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다음 주 반도체·의약품 관세 발표를 예고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된 모습이다.


UPI연합뉴스

UPI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날 뉴욕 주식 시장에서 오전 10시53분 현재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89.96포인트(0.43%) 내린 4만3983.68을 기록 중이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33.69포인트(0.53%) 미끄러진 6296.25,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22.29포인트(0.58%) 하락한 2만931.29에 거래 중이다.

종목별로는 인공지능(AI) 기반 소프트웨어 업체인 분기 매출 첫 10억달러를 돌파한 팔란티어가 7.76% 상승세다. 미 중장비 업체인 캐터필러는 실적 부진에 1.28% 내리고 있다. 엔비디아와 테슬라는 각각 1.66%, 0.94% 하락세를 나타내는 중이다.


이날 미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7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1로 전월(50.8)보다 0.7포인트 하락했다. 기준선인 50을 넘어 경기 확장세는 유지됐지만 시장 전망치(51.5)를 밑돌았다. 이는 인플레이션과 고용 감소의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미 경제의 약 70%를 차지하는 서비스업 부진은 향후 경기 하강에 대한 우려를 자극했다.


울프 리서치의 크리스 세넥 투자 전략가는 "금리 정책의 경로가 여전히 불확실하고 시장은 경제 지표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여름철 후반에는 더욱 불안정한 거래가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도 시장에 부담을 줬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CNBC '스쿼크 박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반도체와 칩에 대해 별도의 (관세) 범주로 발표할 예정"이라며 발표 시점은 "다음 주나 그쯤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의약품 관세 부과 방침도 재확인했다. 그는 의약품에 대해 "소액 관세"부터 시작해 1년에서 1년 반 사이에 최고 150%, 이후에는 250%까지 인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예고했던 200%보다 더 높은 수준이다.


미국은 오는 7일부터 시행되는 상호관세와는 별도로 이미 품목별 관세를 별도로 발효했다. 현재 자동차 및 차 부품에 25%, 철강·알루미늄에 50%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으며 여기에 반도체 및 의약품 관세까지 추가될 전망이다.


투자자들은 주요 기업 실적 발표에도 주목하고 있다. 이날 장 마감 후에는 스냅, AMD, 리비안 등의 실적이 공개될 예정이다. 시장조사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지금까지 S&P500기업 중 약 370개 기업이 실적을 발표했고, 이 중 81%가 시장 기대치를 상회했다.


미 국채 금리는 재무부의 대규모 국채 발행을 앞두고 보합권에서 엇갈리고 있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1bp(1bp=0.01%포인트) 하락한 4.19%, 4.22%,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2bp 오른 3.7%를 기록 중이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