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침수 뒤 도심 곳곳 쥐 떼 출몰
지자체, 스마트 쥐덫 설치
고열·오한·발열 증상 감염병 확산 우려
무더위와 침수 이후 도심 곳곳에서 쥐 출몰이 잦아지면서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등 쥐 매개 감염병의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각 구청 민원 게시판에는 최근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 쇼핑몰 등에 쥐 떼가 출몰한다는 글이 올라오고 있다. 이에 지자체들은 스마트 쥐덫 같은 방역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서울 강동구는 지난해부터 스마트 쥐덫 여든 대를 설치했다. 관악구도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 신림역, 봉천역 등에 스마트 쥐덫 일곱 대와 쥐약을 설치했다.
쥐가 번식할수록 감염병의 확산 우려도 나온다. 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쥐와 관련된 주요 인수공통감염병으로는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등이 있다. 하나같이 쥐의 소변에 오염된 물이나 흙을 통해 감염되며, 균들 또한 장화나 장갑 없이 야외에서 작업할 경우 피부 상처를 통해 침투할 수 있다.
주 증상은 발열, 근육통, 오한, 두통, 복통 등이며, 일부 환자에게서는 간·신장·폐·뇌막 등에 염증이 발생한다. 중증으로 진행될 경우 패혈증, 폐출혈, 황달, 신부전 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치명률은 5~15% 수준이다.
렙토스피라증은 설치류나 가축의 소변 등으로 오염된 물이나 진흙을 통해 감염되며, 사람 간 전파는 드물다. 잠복기는 2일에서 30일까지로 다양하며, 국내에서는 9~11월 침수나 집중호우 이후 환자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최근 5년간 환자 수는 ▲2020년 144명 ▲2021년 125명 ▲2022년 59명 ▲2023년 59명 ▲2024년 70명으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신증후군출혈열은 설치류에 감염된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전파되는 급성 감염병이다. 잠복기를 거쳐 저혈압, 쇼크, 출혈 등으로 진행될 수 있다.
감염 시 12주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 오한, 안구통, 근육통, 두통, 얼굴홍조, 복통, 구역 등 증상이 나타나며, 이후 저혈압·쇼크·출혈·급성 신부전 등으로 진행될 수 있다. 사망 원인은 쇼크, 뇌 질환, 급성호흡부전, 폐출혈 등이며, 치사율은 5~15% 수준이다. 대부분 회복되지만, 일부에서는 신장 기능 저하나 뇌출혈 등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