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하 비율 83% 노후 주택 지역
지역주택조합사업·재개발사업 중첩
주변과 연계한 통합 도로망 계획 수립
국립서울현충원 끝자락에 위치한 동작구 사당동 반지하 밀집 지역에 대한 신속통합기획이 확정됐다.
서울시는 사당동 63-1 일대에 대한 재개발 사업을 추진해 최고 23층, 850가구 규모의 주거 단지로 재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해당 지역은 반지하 주택 비율이 83%에 달하는 노후 건축물 밀집 지역이다. 진입도로 확보 문제와 기존에 추진 중이던 지역주택조합사업과 재개발사업 추진이 중첩돼 어려움이 많았던 곳이다.
동작대로와 연결되고 지하철 4·7호선 환승역인 이수역에 인접한 교통 요지지만 제1종·2종(7층)주거지역에 지면과 높이차가 30m에 달하는 경사지로 재개발이 시급한 곳으로 꼽혔다. 또 대상지 인근 사당 2·3동 일대는 단지별 개발을 통해 총 8000가구 규모의 아파트 단지 12곳이 조성되는 등 개발 소외로 인한 주민들의 상대적 박탈감도 컸다.
시는 ▲교통환경 개선 위한 통합적 도로 정비 ▲지역 주민이 안전한 가로환경 조성 ▲현충원 자락과 조화를 이루는 도시경관 형성이라는 3가지 원칙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인근에서 진행 중인 지역주택조합사업(동측)과 아파트 리모델링사업(남측)을 고려해 통합적으로 도로를 정비한다. 우선 현재 폭 4~6m 도로를 12~15m까지 넓힌다. 또 북측 동작대로35길(진입부)은 3차로(폭 15m)로, 북·서측 동작대로29길·35길은 2차로(폭 12m)로 조성해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도한다.
아울러 도로 정비로 확보된 보도와 대지 내 공지를 연계해 안전한 보행 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시민 밀접시설 등 일상 공간을 보도와 연계해 공간 효율성도 높인다. 이를 위해 동작초 등 통학길과 주요 생활 거리 북측 동작대로25길을 따라 근린생활·커뮤니티시설 등을 집중 배치한다.
현충근린공원 최고점(해발 124m)과 능선(105m 내외)을 고려해 105m 내외 다양한 높이의 공동주택을 배치해 조화로운 스카이라인도 구축한다. 보행자 이용이 가장 많은 동작대로35길에는 현충공원 등을 조망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한다.
시는 용도지역 상향(1종, 2종(7층)→2종주거지역) 등 유연한 도시계획을 적용해 사업 실현성을 높일 예정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정비 사각지대에 있던 노후 정주환경 정비와 지역 차원의 기반시설 확충에 주안점을 두고 기획을 추진했다"며 "시·구·주민이 하나의 팀을 이뤄 빠르게 기획을 완료한 사례로 정비구역 지정 등 후속 절차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신속통합기획 확정으로, 서울시 전체 205개 대상지 중 127개소(약 22만5000가구)에 대한 기획이 완료됐다. 기획 완료 대상지 중 현재 정비계획 수립 53개소, 정비구역 지정 46개소, 조합설립 인가 23개소, 사업시행인가 등 5개소로 후속 절차도 진행 중이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