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플론 코팅팬, 인공 감미료, 방향제 등
장기적으로 건강에 치명적 영향 줄 수도
매일 쓰는 프라이팬, 세탁 세제, 인공 감미료까지.
미국의 한 소화기내과 전문의가 일상 속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독성 물질 8가지를 공개하며 가능한 한 빨리 생활 속에서 제거할 것을 권고했다.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제품들이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경고다.
2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의사로 일하고 있는 하버드대 의대 출신 소화기내과 전문의 사우라브 세티 박사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세티 박사가 가장 먼저 지목한 것은 바로 테플론 코팅(불소수지를 페인트처럼 표면에 적정량 스프레이한 후 일정 온도에서 가열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는 코팅법)이 벗겨진 프라이팬이다. 일반적으로 '코팅팬'이라 불리는 이 프라이팬은 기름 없이도 조리가 가능해 가정에서 널리 쓰이지만, 표면이 긁히거나 벗겨진 상태로 고온에 노출되면 미세플라스틱은 물론 유해 가스가 방출될 수 있다. 그는 "테플론이 손상되면 독성 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며 "긁힌 자국이 보이면 그 프라이팬은 더이상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대안으로 세라믹, 무쇠,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팬을 추천했다.
다음은 인공 감미료다. 특히 아스파탐과 수크랄로스는 설탕보다 수백 배 더 단맛을 내면서도 칼로리가 거의 없어 다이어트 식품이나 제로 음료에 자주 쓰이지만 건강에는 해로울 수 있다. 세티 박사는 이들 감미료가 "장내 유익균을 파괴하고 혈당 조절과 식욕 신호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포도당 불내증이나 장내 미생물 불균형과도 연관돼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대안으로 퓨어 몰크프루트, 퓨어 스테비아, 진짜 과일처럼 자연에서 유래한 단맛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플라스틱 생수병 역시 위험 요소로 꼽혔다. 특히 고온에 노출된 생수병은 비스페놀A(BPA) 같은 호르몬 교란 물질을 방출할 수 있으며, 'BPA-free'라고 표시된 제품도 완전히 안전하진 않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체내에 흡수된 BPA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하며 내분비계를 교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세티 박사는 스테인리스나 유리병을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조언했다.
기분 전환용으로 사용하는 향초와 실내용 방향제도 목록에 포함됐다. 이들 제품에는 화학물질인 프탈레이트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이는 호르몬 시스템에 악영향을 주고 염증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세티 박사는 이보다는 밀랍(비즈왁스) 향초나 에센스 오일 디퓨저를 사용하고 향을 사용할 때는 주기적인 환기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세티 박사는 ▲질산염이나 아질산염이 들어간 가공육 ▲트리클로산 성분이 포함된 항균 비누 ▲인공 향이 첨가된 세탁세제와 드라이어 시트 ▲햄 등 초가공 식품도 되도록 피할 것을 권했다. 세티 박사는 "몸에 쌓이는 독성 물질을 줄이는 건 장과 뇌, 호르몬 건강을 지키는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서지영 기자 zo2zo2zo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