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열대야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한강공원과 해운대에는 여름밤을 즐기려는 2030세대가 모이고 있다. 뜨거운 햇살을 피해 해 질 무렵 몰리는 '밤 피서족'이 늘고 있다.
5일 KB국민카드 AI데이터사업그룹이 2023년부터 2024년까지 7월과 8월 서울 한강공원 편의점과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 상권 주요 12개 업종(음식점, 커피·음료, 주점 등)의 결제 고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두 장소가 가장 붐비는 시간대는 오후 6시부터 밤 12시 사이였다.
해당 기간 한강공원의 이용객 중 오후6시부터 9시까지 방문한 방문객의 비중은 25%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고 밤 9시부터 12시까지가 21%를 차지하며 그 뒤를 이었다. 하루 전체 이용객의 절반 가까이가 야간에 집중된다는 뜻이다. 해운대 해수욕장도 이와 마찬가지로 오후 6시부터 밤 12시 사이에 방문한 방문객의 비중이 45%를 차지했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해당 시간대 두 장소를 방문한 이들의 연령대는 20~30대 젊은 층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지난해 7~8월 기준 한강공원 상권을 야간에 이용한 이들 중 20대는 40%를 차지했으며 30대가 23%로 뒤를 이었다. 해운대 해수욕장 상권 역시 이용객 중 20대의 방문 비중이 36%로 가장 많았으며 30대는 22%, 40대는 21%를 차지했다.
재작년 여름밤에 한강공원을 방문한 방문객의 19%는 이듬해 여름에도 한강공원을 방문했다. 방문객 5명 중 1명이 재방문한 셈이다. 같은 시기 해운대 해수욕장을 2년 연속 방문한 비율은 13%였다.
해운대 해수욕장 방문객은 부산뿐만 아니라 서울, 수도권 등 다른 지역에서 온 이들도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저녁 시간대 해운대 상권 이용객 중 32%만 부산시 거주자였고 나머지는 경기도(18%)와 서울(16%), 경상남도(7%), 대구(5%) 등에서 방문했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전국 각지의 이용객들이 해운대 해수욕장을 찾는 것으로 보인다.
KB국민카드 AI데이터사업 그룹 관계자는 "야간 러닝 행사, 한강 페스티벌 등 한강을 배경으로 한 문화·레저 프로그램과 피서 콘텐츠 등으로 인해 트렌드에 민감한 젊은 층이 한강공원을 많이 찾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박은서 인턴기자 rloseo8@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