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방탄 헬멧·방패 없어서 못 들어간다"…인천 총기 사건 당시 경찰 무전 공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사제총으로 경찰관 공격할 수도"
신고 72분 만에 특공대 진입

인천 송도에서 발생한 사제총기 살인 사건과 관련해 경찰의 늑장 대응이 논란이 된 가운데 당시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들이 방탄 헬멧과 방탄 방패가 없어 내부 진입이 지연된 것으로 드러났다.


"방탄 헬멧·방패 없어서 못 들어간다"…인천 총기 사건 당시 경찰 무전 공개
AD
원본보기 아이콘

4일 연합뉴스는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실이 확보한 경찰 무전 녹취록에 이 같은 내용이 담겼다고 보도했다. 녹취록에 따르면 관할서인 연수경찰서 상황실은 신고 접수 4분 만인 지난달 20일 오후 9시35분께 직원들에게 테이저건, 방탄복, 방탄 헬멧 착용을 지시하고, 7분 뒤인 오후 9시42분께 "지금 도착한 순찰차는 방탄복을 착용했으면 바로 진입하라"고 지시했다.

현장에 출동한 지구대 경찰관들은 현관문 비밀번호를 확보했으나 "화약 냄새가 많이 나고 쇠 구슬도 있다. 내부에 아버지가 장전한 상태로 있는 상황이라 특공대가 와야 한다"고 요청했다.


당시 지구대 팀장은 "경찰관들이 들어가는 순간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몰라서 방탄모와 방탄 방패가 있어야 할 것 같다"며 "무조건 진입하면 안 될 거 같다"고 보고했다. 또 방탄복·방탄모 착용 여부를 묻는 상황실의 질문에 "방탄복을 입었는데 방탄 헬멧이 없다, 아울러 방패는 있는데 방탄 방패가 아니다"고 답변했다.


신고 접수 23분 만인 오후 9시54분께 상황실이 현관문 비밀번호 확보 여부를 묻자 지구대 팀장은 재차 "비밀번호는 알고 있고 들어가는 것은 문제가 없는데, 들어갈 경우 사제 총으로 경찰관을 공격할까 봐 그런다"고 답했다.

긴박한 상황에서 연수서 상황관리관이 피의자, 피해자, 신고자 등 나이를 알아보라고 지시하자, 지구대 팀장은 "지금 그게 문제가 아니다"며 "시아버지가 사제 총을 들고 거실에서 대기한다고 하니 제압할 수 있는 특공대를 일찍 도착하게 해달라"고 재촉하기도 했다.


이어 현장에는 경찰 기동순찰대도 도착했으나, 방탄복이 아닌 방검복만 착용한 상태였다. 결국 기동 순찰대도 소방차 진입로 확보와 주민 통제 등 업무만 담당했다.


결국 경찰 특공대가 집 내부로 진입한 시간은 신고 접수 72분 만인 오후 10시43분이었다. 피의자 A씨는 이미 도주한 뒤였다. 경찰은 CCTV 확인이나 휴대전화 위치추적도 하지 않은 채 피의자가 집 안에 있다고 판단하고 뒤늦게 내부에 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공대 진입 후인 오후 10시49분께 지구대 팀장은 "경찰관들이 도착했을 때는 현관문 잠금장치가 부서져서 열려있는 상황인데 혹시라도 (피의자가) 나올까 봐 잡고 있던 상황"이라며 "최종적으로 확인했는데 피의자가 없다. 아마 경찰관이 도착하기 전에 빠져나갈 여지도 있는 것 같아요"라고 말하기도 했다.


결국 피의자 A씨는 사건 발생 3시간여 만인 오전 0시20분께 서울 서초구에서 경찰에 붙잡혔다.


한편 A씨는 지난 7월20일 오후 9시31분께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 모 아파트 33층 집에서 사제 총기를 발사해 아들인 30대 B씨를 살해한 혐의로 구속됐다. 범행 당시 자신의 생일파티가 열리던 집 안에는 며느리, 손주 2명, 며느리의 지인(외국인 가정교사)도 있었는데, A씨는 이들도 살해하려 한 혐의를 받는다.


또 A씨의 서울 도봉구 집에서는 시너가 담긴 페트병, 세제통 등 인화성 물질 15개와 점화장치가 발견됐는데, 범행 이튿날인 21일 낮 12시에 불이 붙도록 타이머 설정이 돼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