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트럼프, 고용수치 발표에 버럭…노동통계국장 경질 후폭풍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7월 고용지표 예상 밑돌자 국장 해임
여론 싸늘…전직 당국자·공화당도 비판
백악관까지 나서서 해명…대통령 옹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일(현지시간) 해임 조처한 에리카 맥엔타퍼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BLS) 국장.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일(현지시간) 해임 조처한 에리카 맥엔타퍼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BLS) 국장. 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BLS) 국장에 대해 "지난 50년간 최악의 오차를 냈다"며 지난주 본인의 해임 결정이 타당했다고 재차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본인이 만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에서 "에리카 맥엔타퍼는 대선 직전에도 똑같은 짓을 해 일자리 수치를 사상 최고치로 부풀렸지만, 나는 결국 선거에서 승리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어 그는 "그러자 거의 100만개에 달하는 일자리를 '실수'라며 수정했다. 이는 사기(SCAM)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백악관 관계자들도 일자리 수치를 신뢰할 수 없다는 트럼프 대통령 입장을 옹호하며 지원사격에 나섰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이날 CBS에 출연해 "대통령은 이 데이터에 대해 진지한 우려를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 케빈 해싯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역시 "새로운 리더십을 요구한 대통령의 판단은 옳다"고 대통령 편에 섰다.


이 같은 트럼프 대통령과 참모진의 발언은 국장 해임을 두고 여론이 악화한 후 나왔다. 지난 1일 미 노동부는 7월 일자리 증가분이 7만3000개에 그쳤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 10만개를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이와 더불어 지난 5~6월 고용 수치가 29만1000개에서 3만3000개로 25만8000개가 줄었다고 정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즉각 "조작된 숫자"라고 반발하며 맥엔타퍼 국장을 발표 단 몇 시간 만에 해임 조처했다. 다만 그는 구체적인 증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전직 당국자들과 국회 주요 인사들은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은 NBC 인터뷰에서 트럼프의 주장을 두고 "말도 안 된다"며 "BLS 국장이 숫자를 조작할 방법은 없다. 이는 민간 지표들과도 일치한다"고 말했다. 윌리엄 비치 전 노동통계국 국장도 SNS에서 "이번 해임은 위험한 선례를 만들고 BLS의 통계 임무를 훼손하는 일"이라고 우려했다.

통상 정국 운영에 있어 백악관과 긴밀히 공조하는 공화당 내 주요 인사들까지 제동을 걸었다. 신시아 루미스 상원의원은 "대통령이 숫자가 맘에 안 든다고 숫자가 맞는데도 통계 책임자를 자른다면 문제"라고 짚었고, 톰 틸리스 상원의원은 "숫자가 마음에 안 든다고 그냥 자른 것이라면 철 좀 들라"고 꼬집었다. 랜드 폴 상원의원 역시 "숫자를 세는 사람들을 해고한다고 해서 숫자가 더 좋아지거나 달라지진 않는다"고 NBC 인터뷰에서 밝혔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