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연안도 사정권…견제 목적 분석
北 "선제공격적 목적 실현하려해"
북한이 최근 일본의 자국산 신형 미사일 배치 동향을 두고 군사 대국화와 선제공격 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4일 조선중앙통신은 논평 '자멸을 앞당기는 일본의 무분별한 군사적 망동'에서 최근 일본이 공개한 사거리 1000㎞ 12식 지대함 유도탄 배치 계획에 대해 "결코 그 누구의 '위협'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철저히 '대동아공영권'의 야망을 실현하기 위한 일본의 선제공격 능력 확보"라고 전했다.
이어 "지금 일본은 '국가안전보장전략', '국가방위전략', '방위력정비계획'에 따른 군사력 증강과 개편, 무력 현대화 책동으로 침략전쟁을 실전으로 옮길 수 있는 보다 가까운 환경으로 접근하고 있다"라며 "이 모든 군사적 움직임이 선제공격적 목적을 실현하는 데로 지향되고 있다. 장거리 미사일의 원활한 사용을 위한 '통합작전사령부'가 새로 조직되었으며 미사일부대들의 편성계획은 이미 완료된 상태"라고 비판했다.
또 "일본이 '2025년 방위백서'에서도 우리를 비롯한 주변국들을 '절박한 위협', '전례 없는 가장 큰 전략적 도전' 등으로 걸고든 사실은 그 총구가 어디를 조준하여 만장탄되고 있는가를 너무나도 명백히 시사하고 있다"라며 "현실은 군사대국화에 환장한 일본이 선제공격을 노린 장거리 타격 수단들의 실전 배치에 박차를 가해 재침의 포성을 울릴 날을 보다 앞당기려고 발악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라고 말했다.
앞서 일본 언론은 지난달 29일 일본이 적 기지 공격능력(반격능력) 확보를 위해 개발한 자국산 정사정 미사일을 규슈 구마모토현 육상자위대 건군 주둔지에 최초 배치하는 것을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미사일 사정권 내에는 중국 연안부도 포함돼 난세이 제도 주변에서 활동을 강화해온 중국을 견제하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박지수 인턴기자 parkjisu09@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