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고용증가 예상보다 훨씬 적어
5·6월 수치는 10만명이상 수정 발표
美 연준의 금리인하 시기 재검토 예상
미국의 고용 통계가 금융 시장에 충격을 줬다. 예상보다 낮은 7월 일자리 수치에 더해 5~6월 수치가 변경되며 '통계 조작' 논란까지 일었다. 예상보다 적은 고용 때문에 미국 연준(Fed)의 금리 인하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쇼크' 수준의 일자리 통계 수치 발표
미국 노동부가 1일(현지시간) 발표한 7월 비농업 일자리는 전월 대비 7만 3000명 증가에 그쳐, 전문가 전망치(10만6000명)를 크게 밑돌았다. 또한 5월과 6월 일자리 수치를 각각 14만4000명, 14만7000명에서 1만9000명, 1만4000명으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7월 실업률은 4.1%에서 4.2%로 반등하며 일부 경기둔화 우려를 키웠다.
고용 통계 발표로 인해 미국채 금리가 급락하고, 달러화 약세, 증시 3대 지수 동반 하락 등 금융시장도 크게 흔들렸다. 게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고용 통계 '조작'을 주장하며 노동통계국 국장을 해임했다. 미국 내에서는 "앞으로 통계 수치를 어떻게 믿느냐"는 신뢰성 문제도 불거졌다.
파월 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에 영향 미칠 듯
이번 고용보고서가 정확하다면 미국 고용시장은 4월 관세 발표로 인해 큰 충격을 받았던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잘못된 고용보고서를 바탕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정책에 더욱 강경한 모습을 나타냈고, 연준은 금리 인하 시기를 놓친 셈이다. 문제는 이달부터 기존보다 높은 수준의 관세율이 적용된다는 점이다. 일부 기업은 관세를 가격에 모두 반영하기 힘들어 고용을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할 것이기 때문에 실업률 상승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
지난 7월 FOMC 회의에서 연준의 기준금리 유지 배경에는 '물가 불확실성' 외에 '견조한 고용 여건'이 있었다. 실업률을 자극하지 않으려면 월평균 8만개 이상 신규 고용이 필요하다. 기존 발표치로 4~6월 신규 고용 3개월 평균은 약 15만개였다. 당시 금리 수준이 실업률을 자극하지 않고 있다는 판단하에, 연준은 관세 영향을 조금 더 확인하고자 했다. 하지만 이번 고용 통계 수정 발표로 5·6월 2만개에도 못 미치는 신규 고용 수준이었음이 드러났다.
이하연 대신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관세로 인한 마진축소 압력에도 소비 수요 둔화에 판매가격 인상이 힘들어지고, 이는 다시 해고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물론 현재의 고용상황이 미국 경기 침체를 가리키지는 않고 미국은 통화 정책 여력 역시 충분하지만, 다만 8월부터 관세 부담이 재차 확대되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경기 침체를 피하기 위한 빠른 정책 전환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조시영 기자 ibpr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