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트럼프 39% 관세 폭탄에 스위스 ‘백기’…캐나다도 트럼프 대화 시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스위스, LNG 구매·투자 확대 검토
캐나다 카니 총리, 트럼프 직접 대화로 돌파구 모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스위스산 수입품에 39%의 고율 관세를 예고하자 스위스 정부가 기존 협상안을 수정하겠다며 한발 물러섰다. 미국과 무역 합의에 이르지 못한 국가들이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잇따라 대응책 마련에 나선 모습이다.


AP연합뉴스

AP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스위스의 기 파르믈랭 경제장관은 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4일 연방 내각 특별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며 "미국 대통령이 왜 이런 결정을 내렸는지를 먼저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그 후에야 우리가 무엇을 할지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시간이 촉박해 7일 상호관세 발효일까지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기 어려울 수도 있다"면서도 "미국에 선의를 보이고 기존 제안을 수정하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모두 하겠다"고 덧붙였다. 파르믈랭 장관은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구매 확대와 스위스 기업의 대미 투자 증대를 추가 카드로 거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스위스산 시계·제약품·기계류 등에 39%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4월 처음 발표한 31%에서 오히려 8%포인트 오른 것이다. 외신들은 스위스가 대미 무역적자 해소에 성의를 보이지 않자 트럼프 대통령이 격노한 결과라고 해석했다. 파르믈랭 장관은 당시 양국 정상 간 통화가 "성공적이지 않았다"면서도 "(정상 간) 언쟁은 없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처음부터 완전히 다른 관점을 갖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스위스와 달리 캐나다는 미국과 무역 협상 타결에 실패한 상태다. 다만 캐나다 측은 고율 관세 회피를 위해 막판 돌파구를 모색 중이다. 캐나다 정부의 무역 협상 책임자인 도미닉 르블랑 장관은 이날 미 CBS방송 시스 프로그램에 출연해 "머지않아 마크 카니 총리와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대화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일부 관세를 낮추고 투자 확실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8월 1일 캐나다의 보복 관세를 문제 삼아 기존 25%에서 35%로 관세를 인상했다. 다만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 적용 품목에 대한 면세가 유지됨에 따라 실질 관세율은 여전히 주요 교역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USMCA 면세 효과를 감안하면 실효 관세율이 5% 수준이며, 이번 인상에도 6~7%에 그칠 것이라고 추산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월에도 합성마약 펜타닐 밀매와 불법 이민자 유입에 미흡하게 대응했다는 이유로 캐나다에 25%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카니 총리는 이번 인상에 대해 "실망스럽지만, 통제 가능한 사안에 집중하며 협상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