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수돗물 드릴까요, 탄산수 드릴까요"…종업원 이 말은 '교묘한 전략'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이는 소비자가 음식에 집중하게 하고 가격 부담은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서던캘리포니아대의 제이슨 뷜레 박사도 "음식 이름을 먼저 보여주고 가격은 뒤에 배치해 고객이 가격보다 음식에 더 집중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매우 비싼 메뉴를 일부러 상단이나 눈에 띄는 위치에 배치해 다른 메뉴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해 보이도록 만드는 '앵커링' 전략도 널리 활용된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메뉴판과 가격 배치로 소비 심리 조작
음식 이름과 설명으로 소비자의 마음 흔들기도

"외식했는데 돈만 아깝다"는 생각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것이다. 알고 보면 그 기분은 단순한 느낌이 아닐 수도 있다. 식당들이 고객의 지갑을 열기 위해 교묘한 심리 전략을 숨겨두고 있다.


종업원이 "수돗물 드릴까요? 탄산수 드릴까요?"라고 물을 때는 상대적으로 비싼 탄산수를 시키게 하려는 유도 질문이다. 게티이미지

종업원이 "수돗물 드릴까요? 탄산수 드릴까요?"라고 물을 때는 상대적으로 비싼 탄산수를 시키게 하려는 유도 질문이다. 게티이미지

AD
원본보기 아이콘


미국 포털 야후닷컴이 운영하는 야후라이프는 많은 식당이 고객을 속이는 교활한 전략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소개했다. 프록시 쿠폰의 CEO(최고경영자) 프레드 해링턴은 "대부분의 사람은 90초 안에 무엇을 주문할지 결정한다"며 "레스토랑들은 이 사실을 알고 있으며 즉각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메뉴판을 디자인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가격을 눈에 띄지 않게 숨기거나 아예 표시하지 않는 고급 레스토랑들이 많다. 이는 소비자가 음식에 집중하게 하고 가격 부담은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서던캘리포니아대(USC)의 제이슨 뷜레 박사도 "음식 이름을 먼저 보여주고 가격은 뒤에 배치해 고객이 가격보다 음식에 더 집중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매우 비싼 메뉴를 일부러 상단이나 눈에 띄는 위치에 배치해 다른 메뉴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해 보이도록 만드는 '앵커링(anchoring)' 전략도 널리 활용된다. 해링턴은 "이 전략은 심리적으로 매우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식당들이 고객의 지갑을 열기 위해 교묘한 심리 전략을 숨겨두고 있다. 기사 내용과 무관한 자료사진. 픽사베이

식당들이 고객의 지갑을 열기 위해 교묘한 심리 전략을 숨겨두고 있다. 기사 내용과 무관한 자료사진.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메뉴 이름과 설명도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중요한 요소다. 해링턴은 "메뉴 이름이 구체적일수록 사람들은 이름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한다"며 "접시에 무엇이 담겨 있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들리느냐"가 중요하다고 전했다. 특히 '할머니의 사과파이' 같은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문구는 강력한 유혹으로 작용한다. 글로벌 레스토랑 컨설팅 회사인 애런 앨런 &어소시에이츠는 "세심하게 작성된 메뉴 설명은 모든 음식에 감정적 울림을 준다"면서도 "주문하려는 '할머니의 사과파이'는 그냥 냉동 창고에 오래 있었던 음식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틱톡에서 알려진 콘텐츠 제작자 바시아는 종업원이 "수돗물 드릴까요? 탄산수 드릴까요?"라고 물을 때는 상대적으로 비싼 탄산수를 시키게 하려는 유도 질문이라고 전했다. 그는 식당에서 틀어주는 음악조차 고객 소비에 영향을 준다며 "가게가 한산할 때는 는 음악을 틀고, 붐빌 때는 빠른 음악을 튼다. 느린 음악은 사람들을 더 오래 머물게 하고 빠른 음악은 식사를 빨리 끝내게 만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식당들이 고객의 지갑을 열기 위해 교묘한 심리 전략을 숨겨두고 있다. 기사 내용과 무관한 자료사진. 픽사베이

식당들이 고객의 지갑을 열기 위해 교묘한 심리 전략을 숨겨두고 있다. 기사 내용과 무관한 자료사진.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이처럼 레스토랑들은 메뉴판 디자인부터 주문 유도, 음악 선택까지 여러 방면에서 고객의 무의식적 소비를 끌어내기 위한 전략을 쓰고 있다. 외식 소비가 늘어난 요즘 이런 '은밀한 상술'에 한 번쯤 의심은 눈길을 보내는 것도 현명한 소비자의 자세일 것이다.




박은서 인턴기자 rloseo8@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