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1년에 연간 2만명에 칩 이식 예상
뉴럴링크 기업가치 약 12조 평가
일론 머스크의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가 미국에 이어 영국에서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칩을 이식하는 임상시험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뉴럴링크는 이날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영국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병원 등과 협력해 "영국에서 임상 연구를 시작한다"고 알렸다. 뉴럴링크는 "이번 영국(에서의) 연구 시작은 미국에서의 임상시험 성공을 바탕으로 하며, 전 세계 신경계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삶을 변화시키는 BCI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음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일론 머스크의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가 미국에 이어 영국에서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칩을 이식하는 임상시험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로이터·연합뉴스
뉴럴링크 측은 "당신이 척수 손상이나 루게릭병(ALS) 같은 질환으로 마비를 겪고 있다면, 이 연구 참여 자격이 있을 수 있다"며 환자로 등록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안내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병원의 발표를 인용해 이 임상시험이 신경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최대 7명을 대상으로 BCI 기기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평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그동안 최소 9명이 뉴럴링크의 칩 이식 수술을 받았다고 전했다. 현재 해당 칩에 대한 임상 실험은 미국과 영국 외에도 캐나다와 아랍에미리트(UAE)에서도 진행 중이다. 뉴럴링크는 최근 투자자들에게 제시한 보고서에서 2031년까지 연간 2만명에게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칩을 이식해 연간 10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간 매출 10억달러 예상…3가지 칩 출시 계획
뉴럴링크는 사고나 질병으로 신체가 마비된 사람들이 두뇌에 이식된 장치를 통해 생각만으로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칩을 개발해왔다. 앞서 지난달 25일 블룸버그는 뉴럴링크가 최근 투자자들에게 제시한 보고서를 인용해 뇌와 컴퓨터 기기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텔레파시' 칩, 파킨슨병 치료를 위한 '딥', 블라인드사이트까지 3가지 칩을 개발해 2031년까지 연 매출 10억달러(약 1조40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뉴럴링크는 사고나 질병으로 신체가 마비된 사람들이 두뇌에 이식된 장치를 통해 생각만으로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칩을 개발해왔다. 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뉴럴링크는 목표를 현실화하기 위해 5개의 대형 클리닉을 운영하고, 최소 세 가지 종류의 BCI 칩을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뉴럴링크가 보고서에서 선보인 칩 가운데, '텔레파시' 칩은 이미 알려진 것처럼 뇌와 컴퓨터 등 기기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블라인드사이트'는 시각 장애인의 시력 회복을 목표로 한다. 또 '딥'은 떨림과 파킨슨병 치료를 위한 버전이다. 현재 텔레파시는 임상시험 단계로, 이를 이식한 환자 수는 10명 미만이다. 블라인드사이트와 딥 버전은 아직 환자에게 이식된 바 없다.
뉴럴링크는 이 보고서에서 2029년까지 미국 당국으로부터 '텔레파시' 버전에 대한 규제 승인을 획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경우 연간 2000건 수술을 시행해 최소 1억 달러의 매출을 창출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 2030년까지 '블라인드사이트'를 출시해 연간 1만건 수술, 5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봤다. 뉴럴링크는 수술비를 보수적으로 잡아도 건당 5만달러 정도로 예상했다.
뉴럴링크와 같은 BCI 기업들은 최근 몇 년간 의료분야 응용 가능성으로 인해 크게 주목받았다. 그러나 미국 규제 당국은 인간에게 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를 승인하지 않고 있으며 기업들은 안전성과 효과성 입증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여전히 노력 중이다. 현재 뉴럴링크 임상시험에서 신체 마비 환자들은 두뇌 이식 장치를 사용해 컴퓨터를 제어하고 인터넷을 탐색하며 게임이나 동영상 편집을 할 수 있다.
뉴럴링크는 또 원숭이를 대상으로 시력 회복 장치를 테스트하고 있다. 금융시장 정보업체 피치북에 따르면, 지난 6월께 여러 벤처 캐피털에서 6억 5000만 달러(약 9000억원)의 자금을 추가로 조달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뉴럴링크의 기업가치는 90억 달러(약 12조 6000억원)로 평가된 것으로 전해졌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