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용인시, 버스 체계 대폭 개편해 출퇴근 불편 줄인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광역·전세버스 증차…시내·마을버스 신설·개편해 접근성 높여
이상일 시장 "시민 체감하도록 교통 서비스 지속해서 개선할 것"

경기도 용인시가 출퇴근 여건 개선과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을 위해 버스 노선 체계를 대대적으로 손질한다.


용인시는 '2025년 하반기 노선버스 운행 개선 계획'을 수립하고 단계적인 이행에 들어간다고 31일 밝혔다.

용인~강남을 운행하는 5003번 2층 전기버스. 용인시는 하반기 광역버스 를 확충하고 시민들의 대중교통 접근성 확대를 위해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체계를 대대적으로 손질할 예정이다. 용인시 제공

용인~강남을 운행하는 5003번 2층 전기버스. 용인시는 하반기 광역버스 를 확충하고 시민들의 대중교통 접근성 확대를 위해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체계를 대대적으로 손질할 예정이다. 용인시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번 계획은 광역버스는 물론 시내·마을버스를 아우르는 운행체계 개편안을 담고 있다. 혼잡 노선의 증차와 노선 신설, 친환경 전기버스 도입 등 주요 교통 현안 해결에 초점을 맞췄다.

광역버스의 경우 남동~동백~강남역을 잇는 '5003번' 노선 운행 차량을 19대에서 20대로 늘리고, 한숲~기흥~판교 간 '9241번' 노선은 출퇴근 시간대 전세버스를 각 2회씩 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좌석예약제 광역버스 중 5개 노선도 각각 1~2회씩 늘려 운행할 예정이다. 대상 노선은 ▲1550번(1회) ▲5002번(1회) ▲5006번(1회) ▲ 5500-2번(2회) ▲M4101번(2회) 등이다.


현재 2층 전기버스를 도입한 '5003번'(9대)과 '5000번'(5대) 노선에는 연내에 각각 3대, 6대를 추가 도입해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높이기로 했다.

시내버스는 대규모 택지개발지역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8번(용인터미널~신원아파트)과 20번(용인터미널~경기광주) 노선의 경로를 조정해 올해 12월부터 각각 고진역과 경기광주역 방면을 경유하도록 개선할 예정이다.


대중교통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을버스 노선도 확충한다. 하반기 중 고매동 주택단지와 동탄역을 연결하는 노선 신설을 추진하는 한편, 흥덕지구~구성역~죽전역을 연결하는 '58-1번' 연내 1대를 증차할 계획이다.


15번(신봉동~수지구청역~미금)과 15-2번(신봉동~수지구청역~죽전) 노선은 각각 9월과 10월부터 전기버스로 교체해 운행한다.


시는 부족한 운수종사자 확보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16일 기준으로 시가 지정한 양성교육기관에서 120명이 교육을 수료했으며, 이 중 101명이 지역 운수업체에 취업한 상태다.


이상일 용인시장은 "다양한 간담회를 통해 시민들이 공통적으로 불편함을 호소하는 부분이 대중교통 불편"이라며 "연내에 순차적으로 버스 노선을 확충하는 등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교통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두환 기자 dhjung69@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