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백두산에서 한국 사람이 태극기 흔든 게 죄?…"공안 조사에 각서까지 썼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태극기 흔들자 몇 초만에 관리자에 빼앗겨
접경 지역으로 갈등 초래할 우려 있어

한 한국인 유튜버가 백두산 천지에 올라 애국가를 부르며 태극기를 흔들다 중국 공안 조사를 받아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25일 유튜브에는 백두산 관광 중 진행한 라이브 방송 영상이 올라왔다. 해당 영상에서 유튜버 A씨는 백두산 천지에 다다르자 미리 준비한 태극기를 꺼내 흔들며 애국가를 부르기 시작했다. 그러나 불과 몇 초 만에 현장 관계자로 보이는 한 남성이 다가오더니 A씨 손에 쥐어진 태극기를 낚아채 빼앗아 갔다. 당시 주변에는 많은 관광객이 있었는데 한 한국인 관광객은 "중국 땅이라서 그런 거 하면 안 된다. 잡혀가지 않은 것만으로도 다행"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한 한국인 유튜버가 백두산 천지에 올라 애국가를 부르며 태극기를 흔들다 중국 공안 조사를 받아 논란이 일고 있다. 유튜브

한 한국인 유튜버가 백두산 천지에 올라 애국가를 부르며 태극기를 흔들다 중국 공안 조사를 받아 논란이 일고 있다. 유튜브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에 A씨는 휴대전화 번역기를 이용해 "태극기는 돌려주면 안 되냐. 가방에 넣어서 가겠다"며 현지 관계자에게 요청했다. 그러나 A씨는 태극기를 돌려받지 못했고 관계자와 함께 자리를 떠나며 라이브 방송을 종료했다. 6시간 뒤 A씨는 다시 라이브 방송을 통해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공안이 소지품을 전부 가져가 검사했고 심지어 휴대전화 앨범 속 사진 하나하나까지 다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백두산이 북한과 접경 지역이기 때문에 태극기를 드는 행위가 (북한과 중국의) 갈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어 중국에서 제지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A씨는 '추후 같은 행동을 하지 않겠다'는 각서까지 쓰고 상황을 마무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영상을 본 누리꾼들은 "예전에 가이드가 공안 출동한다고 백두산 가면 절대로 태극기 흔들거나 애국가 부르지 말라더라", "괜히 자극하지 않는 게 안전하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 누리꾼은 이달 중순 논란이 된 제주 우도 내 오성홍기(중국 국기) 사건을 지적하며 "역시 내로남불의 국가 중국답다"는 의견을 남겼다.

한편, 현재 백두산은 중국이 75%, 북한이 25%를 관할하고 있다. 천지는 약 54.5%가 북한 소유이다. 중국의 저우언라이 전 총리와 북한의 김일성 전 주석이 1962년 10월 12일 평양에서 '조중 변계 조약'을 체결했기 때문이다. 이에 천지는 북한에 위치한 동파(언덕)를 제외하고, 나머지 북파와 서파, 남파로 올라갈 수 있다. 이 가운데 남파는 북한 국경과 인접해 있기에 검문·검색이 까다롭고, 관광객의 안전을 고려한다는 등 각종 이유로 중국 정부가 개방과 폐쇄를 거듭하면서 타 길목과 비교해 오르기가 힘들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