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일자리재단이 최근 4분기 연속 이어진 경기도 제조업 고용 감소 원인을 분석한 '최근 경기도의 제조업 일자리 감소와 대중국 수입 증가' 보고서를 발간했다.
31일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해 2분기 이후 4분기 연속 감소하고 있다. 특히 서울과 경기도의 감소세가 뚜렷하다. 올해 2분기 기준 서울은 전년 대비 13만명, 경기도는 3만3000명이 줄었다.
주목할 점은 경기도의 제조업 고용감소가 단기적 현상이 아니라 2022년 3분기 이후 3년째 지속되는 구조적 변화라는 것이다.
경기도 제조업 취업자는 2022년 3분기 150만명에서 올해 2분기 135만명으로 감소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부천시(17만8000명), 시흥시(12만8000명), 안산시(11만1000명) 등 전통적인 공업단지 지역에서 고용감소가 집중되고 있다. 반면 평택시(13만3000명), 용인시(12만8000명), 김포시(7만7000명) 등에서는 제조업 고용이 크게 늘고 있다.
산업별로는 금속가공제품, 고무·플라스틱, 기타 기계 및 장비, 기타 제품 제조업 등에서 고용감소가 두드러졌다. 이들 산업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의 기술집약도 별 제조업 분류에 따르면 중기술 또는 저기술 산업에 해당한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수출입 구조의 변화다. 고용이 감소하는 제조업 분야에서 2020년대 이후 대 중국 수입이 급격히 증가했다. 금속가공제품의 경우 대 중국 수입이 2020년 이후 1.5배 증가했으며, 플라스틱 제품과 기타 기계 및 장비 분야에서도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최경수 경기도일자리재단 수석연구위원은 "중국산 제품의 수입 증가가 제조업 고용감소를 앞당긴 요인은 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요인으로 보기는 어렵다"며 "이들 산업은 기술집약도가 높지 않은 중기술 혹은 저기술 제조업으로서 중국으로부터의 경쟁이 없었더라도 비교우위를 지속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이번 분석을 바탕으로 해당 산업들에 대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82811435510281_1756349034.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