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하버드대, 미 정부와 협상 진전"
민권법 위반으로 벌금 5억달러 의향
"트럼프 임기 중 추가 불이익 피해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강한 갈등을 겪어온 하버드대가 정부와의 협상에서 최대 5억달러(약 6959억원)를 낼 의향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협상이 타결될 경우 반(反)유대주의를 둘러싼 갈등을 끝내기 위해 결국 백기를 든 것이다. 연합뉴스는 2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를 인용해 "양측이 진행 중인 협상 소식통에 따르면 하버드대는 미연방 정부에 직접 돈을 지급하는 방식에는 난색을 보이고 있으며, 구체적인 재정 조건을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공습 등으로 인해 지난해 반이스라엘 정서가 미국 대학가에서 확산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이를 탐탁지 않게 여겨왔다. 이에 정부는 대학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사례를 문제 삼아 아이비리그 명문대를 포함한 60개 대학을 상대로 조사를 벌여왔다. 또 하버드대에는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을 폐기하고 입학·채용 과정에 정부 입김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학내 정책 변경을 요구해왔다. 다만 대학 측이 이를 거부하자 정부는 외국인 유학생을 퇴출하려 하고, 연방 지원금을 중단과 정부 용역 계약 해지를 추진하는 등 압박 강도를 높여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하버드대는 웃음거리(joke)"라며 "명문대 리스트에서 빠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대통령이라고 해서 사립대가 무엇을 가르치고 가르치지 말아야 할지 명령할 수 없다"고 맞섰다. 또 연방정부 보조금이 중단에 대항해 자신의 급여 25%를 삭감하기도 했다.
그런데 지난달 트럼프 정부는 하버드대가 유대인 재학생을 노린 위협을 방치했다는 내용을 담은 민권법 위반 통지서를 하버드대에 보내며 추가 압박을 가했다. 앞서 컬럼비아대 역시 같은 혐의를 적용받아 정부와의 협상을 통해 벌금 2억달러(약 2778억원)를 내기로 하면서 매년 12억달러(약 1조 6668억원)가 넘는 연방 보조금을 다시 받을 수 있게 됐다.
이번에 정부가 하버드대에 요구한 금액은 이를 2배 이상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NY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비공식적으로 하버드대가 컬럼비아대보다 많은 금액을 지불해야 한다고 요구해왔다.
NYT는 "협상은 꽤 진전을 이뤘으나, 하버드대는 컬럼비아대가 수용한 '외부 독립 감시인 허용'은 학문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회의적인 입장"이라며 "수개월 전부터 하버드대 관계자들은 정부와 법적 다툼에서 이기더라도 트럼프 임기 중 추가 불이익을 피하려면 합의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고 전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