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눈높이 무시한 '면피용 메시지' 불과
"논란 특위 위원 사퇴·재구성 등 뒤따라야"
"개선 의지 결여…책임 있는 자세 보여라"
최근 불거진 광주시의회 윤리특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논란과 관련해 29일 발표한 '사과문'이 오히려 시민들에게 냉소적 반응과 함께 분노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짤막한 내용에 진정성도 찾아보기 힘든 '반성 없는 면피용 사과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광주시의회는 이날 신수정 의장 명의의 '시민 여러분께 드리는 사과문'을 통해 "제4기 윤리특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구성과 관련, 시민들께 실망과 우려를 드린 점에 대해 머리 숙여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사안은 단순한 절차상의 문제가 아니라 시의회의 도덕성과 공공성, 그리고 시민과의 신뢰를 근본부터 되돌아보게 하는 중대한 일임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고 입장을 발표했다. 또 "시민의 분노와 실망을 뼈아프게 새기며, 시민의 신뢰를 회복하며 더욱 성숙한 의회로 거듭나겠다"고 짧은 사과문을 내놨다.
그러나 시의회의 이같은 내용의 사과문은 시민들의 기대와는 거리가 멀었다. 되레 실망감만 증폭시켰다. 윤리특위와 예결특위 구성 과정에서 빚어진 논란에 대해 사과했지만, 정작 무엇을 잘못했는지 구체적 설명조차 없을뿐더러 책임지는 자세도 보이지 않았다.
진정한 사과는 사실관계를 인정하고, 책임지는 자세, 재발 방지 등의 약속이 수반돼야 한다. 하지만 이날 사과문은 '책임 회피형 메시지'에 그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사과문에서 '단순한 절차상의 문제가 아니라 도덕성과 공공성을 되돌아보게 한다'고 자성하는 듯 보였지만, 그 절차가 무엇이 잘못됐는지 등에 대한 언급도 없다. 시의회가 지칭한 시민들이 요구하는 것은 어떤 절차가 문제였고, 왜 그것이 시민 신뢰를 저버렸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사과문은 '깊이 사과드린다'는 말만 되풀이하면서 정치권의 '공허한 말 잔치'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시민 김모(60) 씨는 "이번 사과문은 진정한 반성이나 개선 의지가 결여돼 있다"며 "시의회가 진정으로 시민 신뢰를 회복하고자 한다면, 형식적 사과가 아니라 근본적인 시스템 개선과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다"고 꼬집었다.
시민단체 한 관계자는 "이날 발표된 사과문은 진정한 사과라기보다는 단순한 형식적 절차에 따른 것으로, 결국 시민과 지방의회 간 신뢰의 간극을 더욱 벌어지게 만든 꼴이 됐다"며 "대의기관으로서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 논란이 제기된 특위 위원들의 사퇴와 재구성 등의 약속이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만원에 가족이 다 먹는다…냉면 매니아들 '이것'으로 갈아탔다[주머니톡]](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53009542689803_1717030467.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