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논단]산길에 끼어든 정치 유튜브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극단 진영논리 담긴 콘텐츠 확산
과잉 정치화된 한국사회의 풍경
정파주의 해소 통한 공감 회복을

[논단]산길에 끼어든 정치 유튜브
AD
원본보기 아이콘

요즘은 산행 중에 정치 유튜브를 들으며 가는 사람들을 심심찮게 본다. 예전 등산길에 종종 들려오던 중년들의 트로트 사랑에, 정치 콘텐츠가 끼어드는 새로운 풍경이다. '뽕짝'의 중년 시대에서 정치화된 중년이 더해진 시대 변화를 말해주는 것인지 모른다. 문제는 그 정치 콘텐츠들이 대체로 극단의 진영정치를 확대 재생산하는 정파적 정치정보라는 점이다. 보편적 공동체 윤리를 약화하는 진영정치 논리가 일상생활에까지 침투하는 정치 과잉의 한국 사회 풍경이다.


국민들의 적극적인 정치 관심은 오히려 필요하고 바람직하다. 민주주의 평가에서도 시민의 정치 참여도가 높을수록 당연히 좋은 점수를 받는다. 그러나 대의기구의 역할 수행이나 정치문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면, 그 참여는 오히려 민주주의를 퇴락시키는 요인이 된다. 선악의 진영정치가 지배하는 최근의 우리 정치 풍토는 높은 정치적 관심도에도 불구하고 정치리더십의 실패와 더불어 한국 민주주의 지수 하락의 결정적 배경이었다.

헨더슨(G. Henderson)은 '중앙권력을 향해 소용돌이치는 정치'로 한국 사회 특징을 잘 포착해 규정했다. 이런 중앙집중의 소용돌이는 급속한 산업화의 동원 자원이 되었고, 이후 민주화의 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 정치가 길을 잃고 민낯의 권력투쟁 무대가 돼 버렸고, 정당은 민주주의를 매개하는 공당이 아니라 그들의 권력을 위한 카르텔이 돼버렸다. 한국 정치의 소용돌이 동력이 이제는 공의를 잃은 극단의 진영정치에 동원되고 있다.


갈등과 증오의 반공동체적 정치가 한국 사회 전반에 침투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와 SNS라는 시대적 환경도 배경에 있다. 통합의 구심점을 표방하는 정치가 실제는 한국 사회의 가장 큰 갈등 요소다. 이런 갈등 요소가 해소되거나 완화되지 않은 채, 사회 전반으로 확산하면서 국민의 일상과 감정, 심지어 인간관계마저 잠식시키고 있다. 진영정치의 사회화다.


여러 사람이 함께 살아가는 사회는 갈등과 연대 의식의 긴장 관계 속에서 돌아간다. 인간의 속성이든, 사회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든, 우리 안에도 증오와 연민, 갈등과 공감이 공존한다. 이 중 어느 속성이 더 발휘되느냐는 사회적 조건과 문화에 따라 달라진다.

정치는 대체로 갈등이 증폭되는 영역이다. 민주주의는 이런 갈등의 요소를 제도적으로 조율하면서 공존을 모색하는 공동체의 원리다. 극단화된 진영정치는 갈등의 제도적 수렴이 아니라, 오히려 갈등을 극단화시킨다. 이런 선악의 정치, 극단화된 진영정치는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주의 원리와는 거리가 멀다.

정치 영역에서 나타나는 갈등이 다른 사회적 영역의 공유기반과 연대 의식을 통해 최소화되거나 해소되기도 한다. 사회적 연대 의식이 정치적 갈등 여지를 애초에 줄이기도 한다. 그런데 최근 한국의 진영정치는 사회적 공감과 상식을 파괴하고 있다. 더구나 그 진영정치가 언젠가는 해소될 공동체를 위한 이념투쟁도 아니고, 단지 그들 권력 카르텔을 위한 권력투쟁이다.


소셜미디어를 매개로 시민사회도 진영정치에 포섭돼 정치와 사회적 연대의 완충 기능마저 작동하지 않는다. 오히려 더 극단화하고 있다. 정치 영역에서 두드러진 증오와 적대감의 진영논리가 사회적 공감과 연민의 공동체 기반을 갉아먹고 있다. 진영정치가 주도하는 정치의 과잉이다.

진영정치의 해소는 정치개혁의 당면 과제일 뿐 아니라, 공감과 연민이 널리 숨 쉬는 공동체를 여는 길이다. 평소 정치평론에 매달려서일까, 산행길에선 정치 유튜브보다 양주동의 '산길'이 흥얼거려진다.


김만흠 전 국회입법조사처장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