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통일부 "北주민 시신, 내달 5일 판문점서 넘겨주겠다"…이례적 공개 통보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北, 유엔사 채널 통해 상황 인지…응답은 없어

정부가 북한 주민으로 추정되는 한 남성의 시신을 다음 달 5일 판문점을 통해 인도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해당 시신은 지난달 21일 인천 강화 석모도 해안에서 발견됐는데, 시신의 신상정보와 인도 계획을 언론에 공개적으로 밝힌 것은 이례적이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

AD
원본보기 아이콘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부는 귀측(북측) 주민으로 보이는 사체 1구를 발견해 인근 병원에 안치하고 있다"며 "인도주의와 동포애 차원에서 이 사체 및 유류품을 8월5일 15시에 판문점을 통해 귀측에 인도하고자 하니 북측은 남북 통신선을 통해 입장을 신속히 알려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정부에 따르면 시신의 품에서 북한 주소 등이 담긴 임시증명서 등 유류품이 나왔다. 임시증명서에 따르면 이 남성의 이름은 고성철, 1988년 10월20일생으로 황해북도 금천군 강북리 21-1반에 거주하고 있는 농장원이다. 유류품으로는 군인용 솜동복 및 배지 등이 있다고 한다.


구 대변인은 "남북통신선이 단절된 상황에서 대북 통지문 발송이 어려운 상황이기에 언론을 통해서 대북 통지 내용을 통보한다"고 부연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취재진과 만나 "이 사안과 관련해 유엔군사령부(유엔사)를 통해 북한에 통보했다"며 "답을 듣지는 못했지만 북한이 이미 이 상황을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만일 정부의 통보 시점까지 북한이 별도 응답하지 않을 경우 관련법에 따라 해당 남성의 시신은 무연고로 화장 처리된다.

과거에도 북한 주민의 시신이 남쪽으로 떠내려온 사례가 있다. 2010년 이후 북한 주민으로 추정되는 시신이 총 29구 발견됐는데, 이 중 23구는 북한이 인수했고 6구는 인수하지 않아 화장 처리됐다. 북한이 시신을 인수한 것은 2019년 11월이 가장 마지막이었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