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0.14% ↓…S&P·나스닥은 ↑
美·EU 무역 합의…中과 관세 유예 연장 논의
30일 FOMC 주목…경제 지표 발표 잇달아
미국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28일(현지시간) 보합권에서 혼조세로 마감했다. 전날 미국과 유럽연합(EU)의 무역 합의 소식에도 시장은 제한된 반응을 보였다. 무역 전쟁 우려가 완화되며 달러 가치는 상승세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4.36포인트(0.14%) 하락한 4만4837.56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1.13포인트(0.02%) 오른 6389.77,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70.27포인트(0.33%) 상승한 2만1178.58에 거래를 마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전날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만나 EU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30%에서 15%로 낮추기로 합의했다. 일본에 이어 EU와도 협정을 타결하면서 관세 전쟁에 대한 우려는 다소 누그러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는 아직 무역 협정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들에 부과할 관세는 "15~20% 수준이 될 것 같다"며 "아마도 15%나 20%, 그 둘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날 미국과 중국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제3차 고위급 무역 협상을 시작했다. 이틀 일정의 첫날 회의는 약 5시간 동안 진행됐다.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중국 측에서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가 참석했다. 핵심 의제는 다음 달 11일 만료 예정인 관세 유예 조치의 연장으로, 양측 모두 3개월 연장을 목표로 협상에 나섰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앞서 양국은 1차 제네바 회담에서 상호 간 초고율 관세를 115%포인트씩 인하해 미국은 30%, 중국은 10%의 관세율을 적용하는 데 합의했다.
모건 스탠리 웰스 매니지먼트의 대니얼 스켈리 매니징 디렉터는 "시장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변동성이 2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안일함과 시장 추격 욕구라는 두 가지 과제에 직면했다"며 "최근 무역 관련 긍정적인 진전에도 불구하고 관세의 전반적인 영향은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분석했다.
이번 주 투자자들의 관심은 미국의 추가 무역 합의 타결 여부와 함께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결정과 각종 경제 지표 발표에 쏠려 있다.
Fed는 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현재 연 4.25~4.5% 수준인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금리 동결이 유력한 가운데 제롬 파월 Fed 의장이 내놓을 발언의 톤이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일지, 또는 오는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는 비둘기파적(통화완화 선호)일지가 관건이다.
FOMC 회의 전후로는 미국의 주요 경제 지표들도 잇달아 공개된다. 30일에는 미 상무부가 2분기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를 발표한다. 시장은 미 경제가 1분기 -0.5%의 역성장에서 벗어나 전기 대비 연율 2.4% 성장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어 오는 31일에는 Fed가 가장 중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6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공개된다. 근원 PCE 물가 지수는 전월 대비 0.3% 상승해 5월(0.2%)보다 오름폭이 커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 달 1일에는 미 노동부의 7월 고용보고서가 발표된다.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10만8000건 늘어나 6월(14만7000건)보다 둔화되고, 실업률은 4.1%에서 4.2%로 소폭 상승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아울러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들의 실적 발표도 이어진다. 지난주 구글 모회사 알파벳과 테슬라에 이어 30일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오는 31일에는 애플과 아마존이 실적을 내놓는다. 인공지능(AI) 투자가 실제 수익으로 이어지고 있는지가 주요 관심사다.
달러 가치는 무역 갈등 완화에 힘입어 상승세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전 거래일보다 1.03% 오른 98.4에 거래 중이다.
국채 금리는 오르고 있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2bp(1bp=0.01%포인트) 오른 4.41%,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전일보다 1bp 오른 3.92%를 기록 중이다.
종목별로는 엔비디아가 1.87% 올랐다. 테슬라는 3.02%,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는 0.69% 상승했다. MS와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0.24%, 0.34%씩 내렸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가격 좀 올려도 되는데" 물가 폭등에도 꿈쩍도 안 하네…불황 버티는 美 간식들[글로벌포커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82815435210658_175636343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