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수천 명 옮겨올 수도 있대"…'거래량 급증' 집값 꿈틀거리는 이 동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해수부가 부산 북항 인근으로 이전하고 북극항로 개척 사업이 본격 논의되면서 시장에 온기가 돌고 있는 것이다.

지난 5월 기준 미분양 주택 5420가구를 기록, 지방 광역시 중 대구 다음으로 가장 많은 수를 기록했지만 분양 및 착공을 줄여가며 공급을 제한하고 있는 것이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지방 도시와 같이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살아나는 가장 단기적 방법은 일자리 증가 요인이 발생하는 것"이라며 "아파트 공급이 줄어가는 상황에서 해수부 이전 등으로 실수요자가 늘어 거래량이 늘면 자연스레 시장 자체가 살아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문의 전화 늘고 급매 사라져
'북극항로 개척' 부산 부동산 시장도 '꿈틀'
최근 2달 북항 인접 동구 아파트 거래량 29% ↑
공급 감소 국면서 수요 증가…시장 활성화 가능성 키워

해양수산부가 임차하기로 한 부산 동구 빌딩. 연합뉴스

해양수산부가 임차하기로 한 부산 동구 빌딩.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해양수산부 이전 소식이 나오고 매수 문의 전화가 늘어나고 있다는 게 느껴집니다. 분위기가 오르고 있다는 건 확실합니다."(부산 동구 A공인)


"아파트 급매를 원하는 매도자는 이젠 사라졌어요. 일대 시장이 살아날 수 있다는 희망에 가격을 내려 파려는 집주인조차 없습니다."(부산 동구 B공인)

부산 집값이 꿈틀거리고 있다. 해수부가 부산 북항 인근으로 이전하고 북극항로 개척 사업이 본격 논의되면서 시장에 온기가 돌고 있는 것이다. 6·27 대출 규제 등으로 인해 수도권 투자 수요가 억제되면서 시장 활성화의 발판이 되고 있다.


2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북항과 인접한 동구 아파트의 지난달 1일부터 이달 28일까지 약 2달간 매매 거래량은 107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수치인 83건과 비교하면 약 29%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북항 인근 중구의 아파트 거래량도 증가했다. 지난달 1일에서 이달 28일까지 아파트 거래량은 15건으로 파악됐는데 전년 동기보다 2건(15.4%) 늘었다.


해수부 이전이 추진되면서 거래량이 크게 늘었다. 아파트 단지가 상대적으로 적은 중구의 경우 15% 늘어나는 것에 그쳤지만, 단지 수가 많은 동구 증가폭이 컸다. 특히 해수부가 임시청사로 동구 수정동 소재 북항 인근 빌딩을 선정하면서 본격적인 이전이 진행될 경우 부동산 수요 증가로 연결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해수부 공무원 850여명과 가족, 소속·유관 기관 등을 고려하면 장기적으로 수천명이 부산으로 보금자리를 옮길 수도 있다. 정부가 HMM 등 해운기업의 부산 이전과 해사전문법원·동남투자은행 설립 등도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보이면서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 신호를 주고 있다.

아울러 수도권 투자 규제로 부산이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지방의 경우 대출 규제에서 제외됐고 이달부터 시행된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도 6개월간 유예된다. 지난 6월 지방 아파트 실거래가 잠정지수에서도 이런 분위기를 엿볼 수 있는데 선행지표인 지방 아파트 실거래가 잠정지수가 부산은 0.68% 상승했다. 이는 5대 광역시 중 가장 높은 수치로 이들 평균인 0.36%보다 0.32%포인트 웃돈다.


전문가들은 주택 공급량이 줄어든 상황에서 수요가 많아지게 되면 시장 분위기가 좋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토교통부 자료를 보면 올해 1~5월 주택 분양은 4269가구로 전년 동기보다 39% 감소했다. 5월만 놓고 보면 주택 분양은 728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74.2% 줄었으며 주택 착공도 1095가구로 28.7% 감소했다. 지난 5월 기준 미분양 주택 5420가구를 기록, 지방 광역시 중 대구(8586가구) 다음으로 가장 많은 수를 기록했지만 분양 및 착공을 줄여가며 공급을 제한하고 있는 것이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지방 도시와 같이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살아나는 가장 단기적 방법은 일자리 증가 요인이 발생하는 것"이라며 "아파트 공급이 줄어가는 상황에서 해수부 이전 등으로 실수요자가 늘어 거래량이 늘면 자연스레 시장 자체가 살아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