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북한 대외무역 동향 보고서
대외무역 규모 약 27억 달러
교역국 1위는 중국
지난해 북한의 수출액이 5년 만에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가 28일 공개한 '2024년 북한 대외무역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수출액은 전년 대비 10.9% 증가한 3억6044만달러로 집계됐다.
2019년(2억7800만달러)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다. 북한의 수출액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0년과 2021년 각각 8900만달러, 8200만달러 수준으로 급감했다가 팬데믹 사태가 마무리된 2022년부터 3년 연속 늘었다.
지난해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한 23억3567만달러였다. 무역적자는 2023년 21억1878만달러에서 19억7523만달러로 6.8% 축소됐다.
지난해 전체 대외무역 규모는 26억9611만달러로 2.6% 줄었다. 교역 상대국 비중을 보면 중국이 전체의 98.0%로 1위를 지켰다. 중국 비중은 2023년 98.3%로 김정은 국무위원장 집권 후 최대치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해 대중국 교역액은 2.9% 감소한 26억4087만달러였다. 중국과의 무역에서 발생한 적자는 19억5723만달러로 8.4% 감소했다.
중국에 이어 아르헨티나, 베트남, 네덜란드, 나이지리아가 북한의 5대 교역국에 포함됐다.
지난해 북한의 최대 수출 품목은 오리, 거위 등의 깃털을 가공한 조제우모와 솜털로 전년 대비 13.0% 증가한 1억8900만달러를 기록했다. 광물류(4700만달러), 철강(2300만달러) 등은 뒤를 이었다. 수입품으로는 원유·정제유 등 광물성 연료·광물유가 4억4631만 달러로 1위를 차지했다. 플라스틱 및 플라스틱 제품(2억3200만달러), 조제우모·솜털 제품(1억7400만달러)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코트라 관계자는 "지난해 북한의 수입은 감소했으나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돼 신규 교역국이나 교역 품목이 확대되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만원에 가족이 다 먹는다…냉면 매니아들 '이것'으로 갈아탔다[주머니톡]](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53009542689803_1717030467.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