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장 수박 먹고 리스테리아 감염으로 중태
비닐랩 덮으면 세균 3000배 폭증
랩 포장보다 밀폐용기 보관이 훨씬 안전
중국에서 한 여성이 냉장 보관한 수박을 섭취한 뒤 식중독 증세로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일이 발생해 여름철 수박 보관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중국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산시성 시안에 거주하는 38세 여성 A씨는 지난 21일 냉장고에 남은 수박을 꺼내 먹었다. 그는 이후 고열과 두통, 구토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았다. 진단 결과, 식중독균인 리스테리아균(Listeria monocytogenes) 감염으로 인해 증상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리스테리아균은 냉장 온도인 0~4℃에서도 생존하며, 고기나 유제품, 세척이 제대로 되지 않은 채소·과일, 오염된 조리도구 등을 통해 인체에 감염될 수 있다. 감염 시 초기에는 발열, 근육통,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난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뇌수막염이나 패혈증으로까지 악화할 수 있다. 특히 임산부, 고령자, 기저질환자는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다.
A씨를 진료한 시안 다싱의원의 중환자 치료 전문의 류민롱 교수는 "냉장실은 절대적으로 안전한 공간이 아니다"며 "식재료를 적절히 보관하지 않으면 냉장 환경에서도 세균이 번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여름철 대표 과일인 수박은 수분 함량이 높아 세균 번식에 특히 취약하다. 전문가들은 수박을 보관할 때 반드시 위생적이고 적절한 방법을 택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일반적으로 수박은 자른 뒤 비닐 랩으로 싸서 냉장 보관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 방식은 오히려 세균 증식을 촉진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소비자원의 실험에 따르면, 깨끗한 환경에서 수박을 랩에 감싸 4℃에서 보관한 결과 절단면의 세균 수가 300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박 껍질 표면에 남은 세균이 습기와 결로가 생긴 랩 내부 환경에서 급속히 증식한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수박을 한입 크기로 잘라 밀폐 용기에 보관한 경우 세균 증식 수준은 초기 대비 3.5배에 불과해, 랩 포장 방식보다 100분의 1 수준으로 억제 효과가 컸다. 따라서 자른 수박은 껍질을 깨끗이 씻고, 과육을 밀폐 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이미 반으로 자른 수박을 랩에 싸 보관한 경우라면, 섭취 전 단면을 1cm 이상 도려내는 것도 권장된다.
또한, 수박을 자른 뒤 상온에 장시간 방치하지 않고 바로 냉장 보관하는 것도 중요하다. 독일 연방 위해평가원에 따르면, 자른 멜론 과육에 존재한 리스테리아균과 살모넬라균은 20℃ 상온에서 단 두 시간 만에 두 배로 증식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만원에 가족이 다 먹는다…냉면 매니아들 '이것'으로 갈아탔다[주머니톡]](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53009542689803_1717030467.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