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허가 번식장인데 온몸에 오물·구더기"…강화도서 개 300마리 구조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인천 강화도에 위치한 열악한 환경의 번식장에서 사육되던 개 300여마리가 구조됐다.

26일 연합뉴스는 동물보호 단체들로 구성된 '루시의 친구들'이 강화도의 번식장에서 사육하고 있던 개 300여마리를 구조했다고 보도했다.

이 번식장은 지방자치단체의 허가를 받아 운영되는 곳이나 관리·돌봄과 관련한 법적 기준은 전혀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뜬장 사육·다리 절단 위기 개체 다수

인천 강화도에 위치한 열악한 환경의 번식장에서 사육되던 개 300여마리가 구조됐다.


인천 강화도 번식장에서 개 300여마리가 구조됐다. 루시의 친구들

인천 강화도 번식장에서 개 300여마리가 구조됐다. 루시의 친구들

AD
원본보기 아이콘

26일 연합뉴스는 동물보호 단체들로 구성된 '루시의 친구들'이 강화도의 번식장에서 사육하고 있던 개 300여마리를 구조했다고 보도했다. 이 번식장은 지방자치단체의 허가를 받아 운영되는 곳이나 관리·돌봄과 관련한 법적 기준은 전혀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동물보호단체 관계자는 지난 24일 이곳을 찾아 "털에 오물이 엉겨 눈도 뜨지 못하는 개들이 수북한 분변에 구더기가 우글거리는 '뜬장'(공중에 떠 있는 우리) 위에서 불법 사육되고 있었다"며 "평사에 있는 개들 또한 최악의 불결한 환경에서 온몸에 각종 오물이 묻은 채 피부병을 앓고 있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산실의 어미 개들과 새끼동물들도 암모니아 냄새가 진동하는 뜬장 위에서 바구니 하나에 의지하고 있었다"라고 덧붙였다. 마실 물도 없었고 불법으로 수거된 축산폐기물을 먹고 있었다.


동물보호단체는 강화군의 일시 격리 조치 이후 개들의 보호를 맡았다. 확인 결과 다리 괴사나 절단 위기에까지 놓인 개들이 다수 있었다. 일부는 탈수 증세로 현장 수의사로부터 응급 처치를 받았다. 번식업자는 "동물은 이렇게 키우는 것"이라며 구조 요청에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번식장은 타인 명의를 빌려 운영된 정황도 드러난 것으로 전해졌다.


루시의 친구들은 "인천에서는 84개 동물생산업체가 영업 중이고, 이 중 강화군에 49곳이 있으나 그동안 지자체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다"며 "강화군은 기본적인 동물보호 조례조차 마련하지 않았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성장하는 미래지향적인 인천의 한편에서는 반려동물들이 참혹한 고통 속에 방치된 채 적절한 행정 계도와 보호 조치를 전혀 받지 못하고 있다"며 "인천 전체 모든 반려동물 번식장을 대상으로 일제 점검이 필요하다"라고 촉구했다.

동물보호법 시행 규칙에 따르면 동물생산업장의 사육설비의 바닥은 망으로 하지 않아야 하며, 사육 설비의 높이는 사육하는 동물이 뒷발로 일어섰을 때 머리가 닿지 않는 높이여야 하고 개의 경우 운동공간을 설치해야 한다. 즉 바닥이 지면에 닿지 않고 구멍이 뚫려 있는 뜬장은 현행 동물보호법상 불법인 셈이다.





구나리 기자 forsythia26@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