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월곡초 분교, 지난 25일 마지막 수업
학령인구 감소로 2021년 이후 신입생 없어
이재명 대통령의 모교가 67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연합뉴스는 26일 경북 안동시 예안면에 위치한 월곡초등학교 삼계분교장이 오는 9월 1일 자로 폐교된다고 보도했다.
월곡초 삼계분교장은 1954년 개교, 1957년 삼계국민학교로 승격됐으며 1999년 9월 이후 본교로 통합됐다. 1976년에는 6학년 학생 수가 70명을 넘겼지만, 이후 인근 지역의 급격한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2021년 이후 신입생을 한 명도 받지 못하면서 폐교가 불가피해졌다.
지난 25일 오전에는 이 학교의 유일한 학생인 6학년 김이지(12)양과 담임 전재준 교사(42)가 마지막 수업을 진행했다. 수업 내용은 '우리나라 무역의 특징'에 대한 심화 사회 수업이었다.
김양은 마지막 수업이 끝나자 "1학년 때부터 다닌 학교가 곧 없어질 것이라 생각하면 속상하다"며 "친구들이 하나둘 떠나고 나만 남았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러나 "대통령이 이 학교 출신이라는 사실이 자랑스럽다"면서 후배로서 더 열심히 노력하겠다는 포부도 전했다.
김양은 2학기부터는 본교인 월곡초등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본교 역시 전교생이 6명에 불과하다.
경북 지역에서는 이번 9월 총 7곳의 학교·유치원이 폐교된다. 문경 산북초 창구분교장 병설 유치원, 의성 단밀초 병설 유치원, 성주 용암초 병설 유치원 등이다.
최근 저출산으로 학령인구가 급감하면서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학교들도 위기에 몰리고 있다. 광주 동구 중앙초등학교에서는 지난 4일 단 한 명의 학생이 입학하는 '1인 입학식'으로 화제가 된 바 있다.
지난 2월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폐교 현황에 따르면 올해 폐교 예정인 초·중·고교는 49곳으로 집계됐다. 2020년 총 33곳이던 폐교는 2021년 24곳, 2022년 25곳에서 2023년 22곳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다시 33곳으로 급증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만원에 가족이 다 먹는다…냉면 매니아들 '이것'으로 갈아탔다[주머니톡]](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53009542689803_1717030467.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