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균 22%의 두배…가맹점 7785곳 달해
다양한 유인책으로 인구의 94%가 지역화폐 이용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본격화한 가운데 경기도 광명시의 지역화폐인 '광명사랑화폐'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애착이 남다른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끈다. 소비쿠폰을 받은 시민 중 절반 이상이 지급 수단으로 지역화폐를 선택했다.
25일 광명시에 따르면 시가 21일부터 시작된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원액의 53%가 지역화폐인 '광명사랑화폐'로 지급된 것으로 분석됐다. 23일 오후 6시 기준 광명시 소비쿠폰 지급액은 약 190억6300만 원으로, 이 중 100억7300만 원이 지역화폐로 지급됐다.

박승원 광명시장이 전통시장인 '광명전통시장'에서 지역화폐로 물건을 구입하고 있다. 광명시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지역화폐 지급 신청률은 5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명시 제공
이같은 비율은 경기도 내 31개 시·군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이는 같은 기간 경기도 전체 지급액 약 9050억1000만원 중 지역화폐 지급액이 1965억4300만원으로 지역화폐 신청률이 22%인 것과 비교하면 2.4배나 높은 비중이다.
이처럼 지역화폐 비중이 높은 것은 풍부한 가맹점 수와 시의 정책 유인책이 어우러진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광명사랑화폐'의 가맹점 수는 7785곳에 달한다. 시 전체 면적이 38.5㎢로 도내 시군 중 4번째로 좁은 반면 가맹점 수가 많다 보니 그만큼 시민들의 접근성이 좋아 편리한 이용 환경을 갖추고 있다.
이 때문에 전체 인구 28만63451명 가운데 지역화폐 누적 이용자 수는 27만1967건(7월 20일 기준)으로 94.9%에 달한다. 전국 7위, 경기도 내 3위 규모의 전통시장인 '광명전통시장'이라는 소비 인프라도 한몫한다. 지하철역과 맞닿은 곳에 대규모 전통시장이 자리 잡고 있다 보니 지역화폐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셈이다.
시의 지역화폐 활성화 정책도 배경으로 꼽힌다. 앞서 광명시는 올해 1월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10만원의 민생안정지원금을 지역화폐로 지급했다. 민생안정지원금은 침체한 지역 소비를 살린 것은 물론 지역화폐 이용률도 늘리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뒀다.
이와 함께 다른 지자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10%의 지역화폐 충전 인센티브를 계속 유지하는 한편, 인센티브 구매 한도 역시 30만원에서 70만원으로 두 배 이상 늘렸다. 시는 특히 올해 발행 목표도 연초 1200억원에서 5000억원으로 4배 이상 확대할 예정이다.
시가 추진하는 '지역공동체 자산화' 사업도 지역화폐 정책과 시너지를 내고 있다. 공공자산을 시민의 공동자산으로 전환하고, 마을 단위의 경제 기반을 조성하는 이 사업은 지역에서 생산된 부(富)가 지역 안에서 순환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지역화폐가 자금 순환의 매개체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실제 시가 최근 조사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실시한 시정 만족도 조사 결과 광명사랑화폐에 대한 정책 만족도는 85.4%에 달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소비쿠폰 지급 방식 중 지역화폐 비중이 높은 것은 광명사랑화폐가 시민 생활 속에 깊이 뿌리내린 지역경제의 핵심 결제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는 것을 입증한다"며 "그간 일관되게 추진해 온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이 이번 소비쿠폰과 맞물려 민생 회복과 골목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인 동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앞으로도 민생경제 회복을 시정의 최우선 과제로 삼고, 광명사랑화폐를 중심으로 한 지속가능한 지역경제 생태계 구축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정두환 기자 dhjung69@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만원에 가족이 다 먹는다…냉면 매니아들 '이것'으로 갈아탔다[주머니톡]](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53009542689803_1717030467.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