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엔비디아 AI칩·틱톡 매각…美·中 협상 테이블 오를듯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28~29일 3차 고위급 회담
엔비디아 칩, 수출 통제에도
중국에 10억달러 규모 밀반입
러트닉, 틱톡 지분매각 승인 압박

오는 28~29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리는 미·중 3차 고위급 무역회담을 앞두고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과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이 핵심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불거진 엔비디아 칩의 중국 밀반출 사건과 틱톡 지분 매각 압박이 이번 회담에서 단순한 무역장벽이나 관세 논의를 넘어 기술 패권과 데이터 안보를 둘러싼 전략적 협상 의제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엔비디아 AI칩·틱톡 매각…美·中 협상 테이블 오를듯
AD
원본보기 아이콘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4일(현지시간) 미국 수출 통제가 강화된 이후 3개월 동안 최소 10억달러(약 1조4000억원)어치의 엔비디아 AI 칩이 중국에 밀반입됐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유통업체들은 지난 5월부터 미국의 수출 금지 대상인 최신형 B200 칩을 중국 AI 기업과 협력하는 데이터센터에 공급하기 시작했다. B200은 블랙웰을 기반으로 한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이다. 중국 수출용 저사양 모델인 H20보다 성능이 우수하다. 앞서 미 상무부는 올해 4월 H20 칩의 중국 수출을 금지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이달 이를 전격 해제하고 수출 라이선스 발급을 허용한 바 있다.


이 같은 밀반출 사례는 미국의 기술 통제 시스템의 허점을 보여주는 동시에 향후 통제 강화를 위한 정책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미국 상무부가 AI 칩에 '위치 추적(location verification)' 기능을 도입해 수출 이후 경로를 감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틱톡 이슈도 협상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이 커졌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틱톡이 "무역협상의 일부인지"라는 질문에 대해 "그렇고, 또 아니기도 하다(Yes and no)"고 답했다. 러트닉 장관은 "중국 정부가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ByteDance)의 지분 매각을 승인하지 않으면 이 애플리케이션(앱)은 미국 내에서 중단될 수 있다"며 압박했다.


지난해 4월 미 연방 의회가 국가 안보 등을 이유로 '틱톡 금지법'을 통과시키면서 모회사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 내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틱톡은 미국에서 서비스가 중단될 처지에 놓였었다. 당초 매각 시한은 올해 1월19일이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시한을 90일간 3차례 연장하면서 9월17일까지로 늦춰졌다.


틱톡은 미·중 기술 갈등의 중심에 서 있는 이슈다. 단순히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플랫폼이 아닌 국가 안보, 데이터 주권, 기술 패권, 정치적 상징성이 결합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매각 협상에 관여하는 이유다. 로이터통신은 최근 "틱톡의 운명을 둘러싼 논의는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간 광범위한 무역 협상의 일부"라고 했다.

이처럼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 칩 밀반출 사건과 틱톡 지분 매각 압박을 협상 카드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이번 스톡홀름 회담에서 기술 규제와 무역 협상이 맞물린 협상 국면이 펼쳐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실제 트럼프 행정부는 앞서 1~2차 미·중 무역 회담에서도 AI 칩 수출 허용을 조건으로 한 기술 협상 전략을 구사한 바 있다. FT는 "트럼프가 H20 수출을 중단했다가 다시 허용한 건 협상용 지렛대 카드"라고 보도한 바 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