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일자리재단은 도내 여성의 인구구조 변화와 경제활동 특성을 분석한 '여성 일자리사업 혁신 방안 PART 1. 경기도 여성인구구조와 산업 특성' 보고서를 25일 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 인구의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가 두드러지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은 증가했지만, 기혼 여성의 비경제 활동 비율은 여전히 높았다. 또 산업별 일자리 불균형 문제 또한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먼저 경기도 여성 고령인구(65세 이상)는 2000년 7.3%에서 2024년 18.3%로 크게 늘었다. 같은 기간 유소년 인구(0~14세)는 20.0%에서 11.5%로 줄었다. 2020년 기준 경기도 전체 가구 중 여성 가구는 176만 가구로, 전체의 32% 이상을 차지했다. 이 중 1인 가구 비중은 44% 이상으로 집계됐다.
2023년 기준 경기도 전체 한부모 가구는 38만5000가구며, 이 가운데 여성 한부모 가구는 28만9000가구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특히 여성과 미혼자녀로 구성된 모자가구는 24만5000가구로 전체 한부모 가구의 63.8%를 점했다.
2015년 이후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증가 추세다. 2024년 기준 15세 이상 여성 경제활동 인구는 604만8000명으로, 전년 대비 1.65%p 증가했다. 경제활동 참가율은 56.6%로 전년 대비 0.86%p 상승했으며, 고용률은 55.3%로 2015년 대비 5%p 상승했다.
경기도 여성의 평균 임금은 217만원으로, 남성 315만원보다 97만원 낮았다. 이는 전국 평균 임금격차인 83만원보다 14만원 더 큰 수치다. 경기도의 성별 임금격차는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반면 경기도 여성 평균 임금은 전국 여성 평균(199만 원)보다 19만원 높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임다희 경기도일자리재단 연구위원은 "경기도 여성 일자리사업은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여성 한부모 및 1인 가구를 위한 복합적 일자리 정책 확대와 함께 신산업 진출을 위한 직무 역량 강화, 경력단절 예방 및 재취업 지원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82811435510281_1756349034.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