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와 시·군이 한 팀처럼 움직여야 실질적 복구가 가능하다."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24일 산청군청에서 열린 '경남도·산청군 호우피해 복구상황 점검 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박 도지사는 "현장의 어려움을 직접 듣고 경남도가 신속히 지원하겠다"라며 "경남도는 산청군의 요청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도민의 조속한 일상 회복이 가능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박 지사는 복구 추진과 관련해 ▲이재민 주거 문제 해결 ▲예비비 신속 투입 ▲인력·장비 등 자원의 효율적 운영 ▲응급·항구 복구의 병행 ▲산지 개발행위 규제 검토 ▲복구 인력 온열질환 예방 ▲딸기 육묘장 등 지원 사각지대 대응 등을 중점 지시했다.
그중 "이재민 주거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고 주거 지원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박 지사는 "이재민 임시거처 마련이 지금 가장 필요하다"라며 "임시시설이 태풍 등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철저히 대비하라"고 주문했다.
또 "도 예비비를 즉시 투입해 응급 복구에 총력을 다하고 인력과 장비 등 가용 자원을 현장에 효율적으로 배분하라"고 지시했다.
유실 또는 파손된 도로와 산사태 피해지역 복구에 대해서는 "응급 복구와 항구복구를 구분해 두 가지를 동시에 추진하고 산림청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체계적으로 진행하라"고 했다.
그러면서 "산지 훼손 지역에서 산사태가 발생했다"며 "향후 계곡, 산지 개발행위에 대한 제한 등 제도 개선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공무원과 자원봉사자 등 복구 인력이 온열질환을 겪지 않도록 예방 대책을 철저히 하라"며 현장 인력 보호를 지시했다.
국가 지원 대상이 아닌 딸기 육종시설 피해에 대해서는 도 차원의 지원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이날 회의에는 박 지사를 비롯해 이승화 산청군수, 정영철 부군수, 도 및 군 실·국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모인 이들은 복구 인력·장비 배치, 도로·하천 정비, 산사태 예방, 이재민 보호 대책 등 현장 중심의 대응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박 지사는 회의에 앞서 산사태에 주택이 매몰된 산청군 단성면 방목리와 피해가 컸던 부리와 모고리 등 주요 피해 현장을 살폈다.
자원봉사자와 복구 인력을 격려하고 주민들을 찾아가 현장 목소리를 들었다.
특히 토사 유출로 전면 통행이 중단됐다 3일 만에 상·하행 1개 차로 통행이 재개된 국도 3호선 신안면 외송리 구간 등도 점검해 지역 간 연결기능 회복 여부를 확인했다.
경남도는 이번 호우 피해 지역에 대해 도-군 간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가용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신속한 복구에 나서는 동시에 실종자 수색도 이어갈 방침이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만원에 가족이 다 먹는다…냉면 매니아들 '이것'으로 갈아탔다[주머니톡]](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53009542689803_1717030467.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