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인덕션·카본매트 '전자파' WHO 기준 '안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과기정통부, 2025년 상반기 생활제품·환경 전자파 측정결과 공개

국내 유통되는 32종 81개의 정보통신기술(ICT) 제품과 3038곳의 생활공간 주요 시설의 전자파 측정 결과, 모두 세계보건기구(WHO)의 인체보호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전기인덕션, 인동지능(AI) 스피커 등 생활제품(32종 81개 제품)과 교육·주거·공공시설 등 생활환경(3038곳)의 전자파 노출량을 측정한 결과 모두 인체보호기준을 충족했다고 밝혔다.

인덕션·카본매트 '전자파' WHO 기준 '안전'
AD
원본보기 아이콘

전자파 측정 결과, 전기 인덕션과 카본매트 등은 인체보호 기준 대비 20.22% 이하의 전자파가 측정됐다. 휴대용 선풍기, 제빙기 등 계절(하계) 제품군은 인체보호 기준 대비 12.05% 이하, 전기면도기와 전동칫솔 등은 인체보호 기준 대비 4.74%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유치원 등 교육시설, 병원, 관공서 등 생활시설의 전자파는 인체보호 기준 대비 3.26% 이하로 나타났다. 이음5G 등 사물인터넷(IoT) 기술 기반의 스마트 공장·캠퍼스 등 융복합 시설은 다양한 무선설비 운용에도 전자파 노출량은 인체보호기준 대비 3.74% 이하로 다른 시설들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유치원과 학교 인근 전력선의 경우도 인체보호 기준 대비 0.05% 이하로 측정돼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은 WHO가 권고하는 국제비전리복사방호위원회(ICNIRP)의 기준에 따라 30㎐ 주파수 대역의 경우 1666mG 이하, 60㎐는 833mG이하, 200㎐는 250mG 이하일 경우 기준에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과기정통부는 2019년부터 매년 국내에서 유통되는 ICT 제품과 생활공간의 주요 시설 중 국민적·사회적 관심에 따라 측정 대상을 선정해 전자파 측정 결과를 공개한다. 201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모두 166종 506개 제품과 2만2932곳의 생활공간 주요 시설의 전자파를 측정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과기정통부가 운영하는 '생활 속 전자파 위원회'를 통해 국민이 신청한 제품 6종, 계절(하계) 제품 5종과 자체 선정한 제품 21종 등 총 32종을 선정해 국립전파연구원에서 전자파 강도 측정기준에 따라 약 2개월 동안 정밀 측정·분석했다.


이번 전자파 노출량 측정 결과는 국립전파연구원 '생활 속 전자파' 누리집(생활제품),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전자파 안전정보' 누리집(생활공간)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