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한·일 수교 60주년' 키아프 서울, 9월 개막...'수집·진열' 형식 주목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키아프 서울, 9월3일 개막
한·일 수교 60주년 기념
특별전 '리버스 캐비닛'
'수집·진열' 예술 형식에 주목

오는 9월3일개막하는 Kiaf SEOUL 2025에서 한·일 수교 6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리버스 캐비닛'이 진행된다. 한·일 양국의 큐레이터와 작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수집'과 '진열'이라는 예술의 근본적인 형식에 대해 새로운 시선을 제안한다.

Kiaf SEOUL 2025 특별전 '리버스 캐비닛'을 공동 기획한사진 왼쪽부터 윤율리(일민미술관 학예실장), 이와타 토모야((The 5th Floor 디렉터). Kiaf SEOUL 2025

Kiaf SEOUL 2025 특별전 '리버스 캐비닛'을 공동 기획한사진 왼쪽부터 윤율리(일민미술관 학예실장), 이와타 토모야((The 5th Floor 디렉터). Kiaf SEOUL 2025

AD
원본보기 아이콘

올해로 24회를 맞은 Kiaf SEOUL은 현대미술의 가치 체계와 자본 체계가 충돌하고 얽히는 역동적인 플랫폼으로 기능해왔다. 이러한 아트페어의 특수성을 반영한 특별전 '리버스 캐비닛' 예술의 방법론이자 형식으로서의 '수집'과 '진열'을 조명한다.


이번 전시는 동시대 미술의 주요 담론에 대한 통찰력 있는 시각을 제시해 온 한국의 윤율리 큐레이터(일민미술관학예실장)와 전시를 통해 인간 존재를 탐구하는 일본의 이와타 토모야(Tomoya Iwata) 큐레이터(The 5th Floor 디렉터)가 공동 기획했다.이 외에 돈선필, 정금형, 염지혜, 오가영과 일본의 다케무라 케이(Kei Takemura), 다카하시 센(Sen Takahashi) 작가가 참여했다.

윤율리 큐레이터는 "미술사는 수집의 역사라고 말할 수 있고, 전시는 그것을 진열하는 형식이다. 그런 점에서 수집과 진열은 미술의 가장 근본적인 성질과 맞닿아 있다"라며 "Kiaf SEOUL은 다양한 미술계 참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각기 다른 관점으로 미술의 가치를 형성해 나가는 매력이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작가-컬렉터-관객'이라는 전통적인 삼각 구도를 새롭게 재구성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타 토모야 큐레이터는 "한국과 일본은 얼핏 보면 아주 다른 듯하지만 일정 부분 공유하는 문화적 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수집과 진열'이라는 공통의 언어를 바탕으로 각자의 문화적 맥락을 어떻게 해석하고 표현하는지 주목해 주시기 바란다"고 전시의 의의를 밝혔다.


전시는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이 저마다 구축한 '뒤집힌' 컬렉션 사이를 거닐며 동시대 미술의 다양한 시선과 해석을 경험하고 나아가 그것을 또 다른 수집과 진열로 확장해 보기를 권한다. Kiaf SEOUL 2025 특별전 '리버스 캐비닛'은 오는 9월3일부터 7일까지 페어 기간 코엑스 A, B홀과 그랜드볼룸까지 전시장 곳곳에서 관람할 수 있다.

사진 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돈선필(한국), 정금형(한국), 염지혜(한국), 다카하시 센(일본), 다케무라 케이(일본), 오가영(한국). Kiaf SEOUL 2025

사진 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돈선필(한국), 정금형(한국), 염지혜(한국), 다카하시 센(일본), 다케무라 케이(일본), 오가영(한국). Kiaf SEOUL 2025

원본보기 아이콘

Kiaf X 예술경영지원센터 X Frieze 공동 기획 토크 프로그램

키아프는 2023년부터 예술경영지원센터, 프리즈와 함께 국내외 미술계의 주요 인사들을 초청해 동시대 예술의 핵심 의제를 공유하고, 한국 미술계와의 연결을 통해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는 토크 프로그램을 공동 기획해 왔다. 올해 토크 프로그램은 오는 9월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 2층 STUDIO 159에서 열린다. 예술이 직면한 사회적·기술적·문화적 전환의 흐름을 다양한 시각으로 조망하는 총 9개의 세션으로 구성된다.

프로그램은 예술재단의 공공성과 운영 전략, 아시아 퀴어 미술과 사회 참여예술의 실천과 역할, 신생 갤러리의 생존 전략, 한국미술의 국제적 위상과 비전, 기술과 알고리즘 창작의 시대에 예술의 창의성과 가능성 등 동시대 미술의 주요 이슈를 폭넓게 아우른다. 키아프 특별전 '리버스 캐비닛'의 전시기획자와 컬렉터들의 대담으로 이뤄진 연계 세션과 아티스트 토크도 마련돼 관람객들이 행사를 더욱 깊이 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대표 연사로는 이지선(시카고예술대학 총장), 카타오카 마미(모리미술관장), 알프레도 크라메로티(미디어 마즐리스 뮤지엄 관장), 아드리안 비야르 로하스 (작가), 김선정 (아트선재센터 예술감독), 김아영(작가), 이진준(작가, 카이스트 교수), 지혜진 (상히읗 설립자), 패트릭 플로레스 (싱가포르국립미술관큐레이터· 리서치 부관장), 비비안 차우 (아트넷 기자), 푸랏 오사타누그라 (컬렉터, 딥 방콕 대표) 등이 참여한다.


토크 프로그램은 전 세션 무료로 운영한다. 키아프 및 프리즈 입장권 없이도 누구나 선착순으로 현장 참여가 가능하다. 온라인 시청을 위한 사전 신청은 오는 8월19일부터 키아프와 예술경영지원센터의 공식 SNS 채널을 통해 진행한다.





서믿음 기자 fait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