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의대 왜가? 이공계 가야지"…AI열풍 中 인재들 "대학 간판도 안볼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中 매체들 대입 지원 현황 분석 결과
고득점자 AI·컴퓨터·전자공학 쏠려
"의대, 기간 길고 강도 높아 기피"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가 일으킨 파장이 중국 학생들의 대학 입시에도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는 22일 저장일보와 정관신문 등을 인용해 "전날까지 중국의 각 지방정부가 발표한 대학입시 지원 현황에 따르면 주요 도시 명문 대학들의 AI, 컴퓨터공학, 전자공학 등 첨단 분야에 고득점자들이 몰렸고, 대학 간판과 상관없이 이공계열의 인기가 증명됐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생성형 AI 모델 딥시크. 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의 생성형 AI 모델 딥시크. 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중국의 대학 입학시험인 가오카오(高考)는 보통 750점 만점이다. 올해 주요 명문대들이 정원을 늘려 합격선이 다소 낮아진 것을 고려해도 장쑤성이 발표한 국방과학기술대 이공계열 합격선이 671점에 달해 칭화대나 베이징대 등 중국 최고 일류대 점수에 근접했다.


또 광둥성 발표에 따르면 가오카오 점수 최상위권 학생들이 베이징전자과학기술학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대학은 중국 정부가 규정한 명문대학은 아니지만, 졸업 시 공무원 취업에 유리해 수험생들 사이에서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고 한다. 이는 이공계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점점 심각해지는 중국의 취업난을 반영한 결과로 추정된다.


정관신문은 "학생과 학부모 모두 명문대 프리미엄보다는 전공 자체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취업 안정성이 얼마나 큰지 따지는 분위기가 됐다"면서 "아무리 유명한 대학이라고 하더라도 인기 없는 전공은 입시 전체 순위에서 크게 밀렸다"고 평가했다.

지난 16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에서 참석자가 중국 IT기업 레노버의 휴머노이드 로봇과 악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6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에서 참석자가 중국 IT기업 레노버의 휴머노이드 로봇과 악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처럼 이공계 선호 현상이 뚜렷해진 가운데, 임상의학 전공에 대한 선호도는 크게 떨어져 눈길을 끈다. 저장일보는 "최근 2년간 의대생도 취업하기가 어려워졌고, 의대는 공부 기간이 길고 업무 강도가 높아 기피하는 현상이 생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중국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이나 AI, 테크 분야 기업가와 연구자에 대한 직업적 선망이 생겨나면서 이러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 장기간의 부동산 침체로 인해 토목공학과의 인기가 하락했으며, 취직이 보장되지 않는 인문대에 대한 선호도도 크게 떨어졌다. 내몽골 지역에서 베이징대의 공공사업관리 등의 전공을 지원한 수험생은 0명으로 집계됐다.


중국에서는 중앙정부가 대학 입시의 큰 틀은 정하지만, 대학 합격자는 각 지방정부가 따로 관리한다. 올해 중국의 가오카오 응시자 수는 약 1천335만명으로, 지난해보다 7만명가량 줄었으나 역대 두 번째 규모를 기록했다.


서울 소재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소재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중국과 달리 한국은 의대 지원자가 쏠리면서 이공계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다. 지난해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의 영향으로 이 같은 경향이 더 강화됐다. 종로학원 발표에 따르면 2025학년도 전국 39개 의대의 정시모집 지원자는 1만 519명으로, 전년보다 2421명(29.9%) 급증했다. 의대 정시 지원자가 1만명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6년간 처음 있는 일이다.


반면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광주과학기술원(GIST·지스트)·울산과학기술원(UNIST·유니스트)·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디지스트)의 지원자는 4844명으로 전년도(6743명)보다 28.2%(1899명) 감소했다. 특히 카이스트 지원자는 2024학년도 2147명에서 2025학년도 1333명으로 전년보다 37.9%(814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