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골드만삭스 "관세 충격에 소비 위축…美 성장세 둔화 전망"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일회성 가격 인상이라도 실질소득 잠식"
美 평균관세율 전망치 10%→15%로 상향 조정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관세 영향에 따른 소비 위축으로 미국 경제가 둔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게티이미지연합뉴스

게티이미지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22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얀 하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고객에 보낸 메모에서 "관세 관련 가격 인상이 실질소득을 점점 잠식하면서 금융 여건 완화에 따른 경기 부양 효과를 상쇄할 것"이라며 올해 미국의 성장률 전망을 1.1%로 제시했다. 이어 "일회성 가격 인상이라도 실질소득을 잠식할 것"이라며 "이 같은 현상은 소비 지출 흐름이 이미 불안정해 보이는 시점에 일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최근 소매판매 지표가 견조하게 나타난 것과 달리 전반적인 소비는 올해 상반기 중 정체 상태에 머물렀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는 경기침체 기간 외엔 드문 현상"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미국의 평균 관세율 전망치를 종전의 10%에서 15%로 상향 조정했다.


또 2026년에 평균 관세율이 추가로 3%포인트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 영향으로 연방준비제도(Fed)가 통화정책의 준거로 삼는 물가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이 올해 3.3%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미 경제가 침체에 빠질 확률은 30% 수준으로 평가했다.


골드만삭스의 이 같은 비관적인 경기 전망은 최근 미국이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란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관세가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을 불러올 것이란 초기의 우려와 달리 물가 급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미국 경제가 활력을 되찾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