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지갑이나 티머니 iOS 앱서 등록
기기 잠금 해제 안해도 교통카드 결제
배터리 부족 '전원절약' 모드서도 사용
이제 한국 애플페이 사용자들도 애플 지갑 애플리케이션(앱)에서 티머니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실물 카드 없이도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현대카드를 보유하지 않은 아이폰 사용자들도 모바일 티머니 앱에서 카드를 등록하면 동일한 기능을 쓸 수 있다.
22일 애플과 티머니는 "쉽고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공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아이폰 사용자가 티머니 교통카드를 등록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기존 애플페이 사용자는 애플 지갑 앱에 들어가 선불형 티머니 카드를 추가하면 된다. 사용자는 애플 지갑에서 추가(+)를 선택하고, '교통카드'에 들어가 안내에 따라 티머니 카드를 추가할 수 있다.
티머니 카드 잔액이 일정액 이하로 내려가면 사용자는 애플 지갑 또는 모바일 티머니 iOS 앱을 이용해 직접 충전하거나 자동 충전할 수 있다.
자동충전은 애플 지갑에서 '카드 세부 사항'을 선택하고 '자동 충전'을 탭해 변경할 수 있다. 모바일 티머니 iOS 앱에서도 자동 충전을 설정하거나 애플 페이 및 다른 결제 수단을 사용해 잔액을 충전할 수 있다.
특히 익스프레스 모드(Express Mode)가 활성화된 상태에선 기기 잠금 해제나 기기 화면을 켜지 않아도 아이폰 또는 애플 워치 단말기에 가져다 대기만 하면 바로 탑승할 수 있다. 또한 아이폰의 충전이 필요한 '전원 절약 모드'에서도 최대 5시간까지 교통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애플페이를 이용하려면 현대카드가 필요한 만큼, 이 경우 애플 지갑에서 티머니 카드를 등록하고 금액을 추가하려면 현대 체크·신용카드가 있어야 한다.
현대카드가 없는 아이폰 사용자는 모바일 티머니 앱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 후, 모바일 티머니 카드를 새로 발급받아 충전하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카드를 등록한 후 버스에 탑승해 기기 잠금을 해제하지 않고 익스프레스 모드로 아이폰을 버스 단말기에 탭했더니, 티머니 카드 화면이 뜨면서 카드 인식으로 1500원이 차감됐다는 알림이 떴다.
한달치 선불 충전으로 교통비를 아낄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나 K패스 카드 등록은 아직 불가능한 점이 아쉬웠다.
애플 페이 티머니는 애플의 강력한 보안 기능과 개인정보 보호 기술을 그대로 적용받는다. 교통카드 정보는 애플 서버에 저장되거나 애플과 공유되지 않는다고 애플 측은 밝혔다. 사용자가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를 잃어버렸을 경우 '나의 찾기' 앱을 통해 기기를 잠그고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티머니 카드를 애플 지갑에 추가하려면 iOS 17.2 이후 버전이 설치된 아이폰 Xs, Xr 이후 모델이거나 워치OS 10.2 이후 버전이 설치된 애플워치 시리즈6, SE 2세대 이후의 모델이 필요하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