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전라권 등 지역 곳곳서 외국인주민 증가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이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국인 주민이 1만명 이상이거나 인구 대비 5% 이상 거주하는 지역을 뜻한다.
연합뉴스는 22일 이민정책연구원이 '통계를 통해 살펴본 외국인 주민 집중거주지역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보도했다.
행정안전부의 '지자체 외국인주민 현황' 통계에 따르면 2023년 11월 기준 3개월 이상 국내에 거주한 외국인주민은 246만명에 달한다. 이는 관련 통계가 처음 발표된 2006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외국인 집중거주지역' 역시 2023년 기준 127곳으로, 전년(97곳) 대비 31% 증가했다. 전국 229개 시구군 가운데 과반이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에 해당하는 셈이다.
앞서 2016년 외국인 집중거주지역 65곳 가운데 63%(41곳)가 수도권에 집중됐다.비수도권은 37%(24곳)에 불과했다. 이후 외국인이 거주하는 비수도권의 지역수는 급증했다. 2023년에는 수도권 내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은 48곳으로 소폭 늘어난 데 비해 비수도권은 79곳으로 3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전북이 1곳에서 10곳으로, 전남이 2곳에서 11곳으로 급증했다. 충남도 3곳에서 13곳으로, 경북도 4곳에서 12곳으로 늘었다.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이 1곳도 없었던 강원과 대전은 각각 3곳, 1곳 증가했다.
연구진은 기존에 외국인 주민이 많이 거주하던 충청권과 경상권뿐만 아니라 전라권 등 비수도권의 여러 지역에서 외국인 주민이 증가한 결과라고 해석했다.
다만 집중거주지역의 외국인 주민 규모는 여전히 수도권이 우위를 보였다. 수도권 내 외국인 집중거주지역의 평균 외국인 주민 수는 2만7538명으로, 비수도권(9391명)보다 약 3배 많았다.
외국인의 증가와 지역의 다변화는 이들의 영향력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진은 "많은 지자체가 지방교부세 산정 시 외국인 주민 규모 반영 확대를 중앙정부에 요구하는 등 이들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며 "외국인 주민의 유입 정책이 지역경제와 사회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 설계와 기초자료 구축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