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조수석은 뺄게요"…레고처럼 맘대로 짜맞추는 기아 PV5 등장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고객 목소리 1000개 듣고 PV5 기획
조수석 없는 택시, 옆문 쓰는 휠체어
2세대 PMSA·펫모드 등 신기술 소개

"조수석은 뺄게요"…레고처럼 맘대로 짜맞추는 기아 PV5 등장
AD
원본보기 아이콘

"조수석 없는 차량을 만들어주세요."


기아 가 브랜드 최초 전동화 전용 목적기반차량(PBV) '더 기아 PV5'(이하 PV5) 출시에 맞춰 차량에 탑재한 신기술과 신기능을 공개했다. 전례 없는 '다품종 차'를 완성한 비결은 기획 단계부터 들은 1000건이 넘는 고객 목소리였다.

22일 경기 광명에서 열린 '더 기아 PV5 테크 데이' 발표자 단체사진. 기아

22일 경기 광명에서 열린 '더 기아 PV5 테크 데이' 발표자 단체사진. 기아

원본보기 아이콘
"조수석은 뺄게요"…레고처럼 맘대로 짜맞추는 기아 PV5 등장 원본보기 아이콘

류재천 기아 MSV프로젝트7팀 책임연구원은 22일 경기 광명에서 열린 '더 기아 PV5 테크 데이'에서 '조수석 없앤 차량'을 소개하면서 택시 운전자, 차량호출(카헤일링) 플랫폼을 비롯한 모빌리티 업계 목소리를 들었다고 밝혔다. 류 연구원은 "조수석 대신 2열과 3열에 좌석을 둘씩 두면서 운전자와 승객의 공간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며 "빈 조수석 공간에는 캐리어가 최대 3개 들어간다"고 했다.


거동이 불편한 노부모를 차에 자주 태우는 고객을 위해선 2열을 비우는 선택지(2-0-3)도 선보였다. 2열에 좌석이 없어 옆문으로 휠체어를 쉽게 싣고 내릴 수 있는 구조다. 방기경 기아 국내상품2팀 매니저는 "PV5를 이용하면 휠체어 이용객이 차량 측면으로 비장애인과 동일하게 탑승하고 1열과 3열 사이 공간은 휠체어 방향을 충분히 돌린 후 고정할 수 있을 만큼 넉넉하다"고 했다.


연구진은 PV5 개발 초기 고객 인터뷰를 토대로 1000여개의 사용자 시나리오를 모아서 분석하면서 다품종 차량을 구현했다는 설명이다. 김유정 PBV상품운영팀 책임매니저는 "많은 피드백과 요구사항이 있었다"며 "배송이나 운송 같은 비즈니스 목적으로 쓸 수 있고 차박(차량을 이용한 숙박)도 가능하다"고 했다.

'더 기아 PV5'을 이용해 차박(차량을 이용한 숙박)을 하거나 휠체어를 태우는 모습. 전영주 기자

'더 기아 PV5'을 이용해 차박(차량을 이용한 숙박)을 하거나 휠체어를 태우는 모습. 전영주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PV5가 다양한 니즈(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을 최초로 적용했다.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은 차체와 도어 등 무빙류, 외장, 내장 주요 부품을 모듈화해 차량을 블록처럼 조립하는 기술이다. 전면부와 1열을 제외한 차량 구조를 모듈 단위로 조합해 바디 라인업을 최대 16종까지 확장할 수 있다. 또 2세대 '페달 오조작 안전보조(PMSA)'도 탑재됐다.


반려동물을 위한 '펫모드'도 눈에 띈다. 운전자가 잠시 자리를 비울 때 반려견이 차 안에서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도록 차량 온도 등을 조정하는 기능이다.


22일 경기 광명에서 열린 '더 기아 PV5 테크 데이'에서 연구진이 설명하고 있다. 기아

22일 경기 광명에서 열린 '더 기아 PV5 테크 데이'에서 연구진이 설명하고 있다. 기아

원본보기 아이콘

PV5가 쓰고 있는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도 중국 CATL이 새로 개발한 기술이라는 설명이다. 류 책임연구원은 "CATL는 가장 최신의 안전기술을 적용한 PV5 전용 배터리를 신규 개발해 모듈팩 단위로 납품하고 있다"고 했다. 추후 국산 배터리를 쓸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는 "차종마다 배터리 사양 선정 기준과 요구 수치가 달라서 현시점 향후 차량에 대해 언급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기아는 내달부터 PV5 국내 고객 인도를 시작, 4분기 유럽 출시를 기점으로 해외 시장에 순차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전영주 기자 ang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