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60여년간 봉인 '킹 목사 FBI 파일' 공개…유족은 반발, '이슈덮기용' 의혹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봉인한 지 약 50년 만
유족 반대에도 문서 공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마틴 루서 킹 목사 암살 사건과 관련된 연방수사국(FBI) 기록을 공개했다. 이번에 행정부가 공개한 자료는 23만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으로 1977년 법원 명령으로 봉인한 지 약 50년 만이다. 22일 연합뉴스는 AP통신과 CNN 등 외신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킹 목사 유족과 그가 이끌던 민권 단체 반대에도 불구하고 해당 문서를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성명을 통해 "미국민은 거의 60년간, 이 민권운동 지도자의 암살에 관한 연방정부의 전면적인 조사 기록을 기다려왔다"며 "우리나라의 역사에서 이 중대하고 비극적인 사건에 대한 완전한 투명성을 담보하기 위한 우리의 임무에서 어떤 돌도 뒤집어보지 않은 상태로 두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개버드 국장은 23만쪽 이상인 공개 대상 자료에 대해 "프라이버시를 이유로 최소한의 편집"만을 했다고 설명했다.

생전 마틴 루터 킹 목사의 모습. AP·연합뉴스

생전 마틴 루터 킹 목사의 모습. AP·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앞서 유족들은 FBI가 불법 사찰로 수집한 킹 목사 사생활 관련 정보가 명예 훼손에 악용될 것을 우려를 해 기록 공개를 반대해왔다. 킹 목사 자녀인 마틴 루서 킹 3세와 버니스 킹은 성명을 내고 "깊은 슬픔을 안겨준 사안"이라며 "역사적 맥락 전체를 고려해 파일을 봐달라"라고 말했다. 또 이들은 "부친은 생전 J. 에드거 후버가 FBI를 통해 전개한 침해적이고 약탈적인 감시 캠페인의 표적이 됐다"며 "이는 사생활 침해를 넘어 정의를 위해 싸운 시민의 존엄성을 훼손하려는 의도적인 공격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 파일 공개에 관여하는 사람들에게는 공감과 자제, 우리 가족의 계속된 슬픔에 대한 존중을 갖고 하길 요청한다"고 밝혔다.

문서 공개 두고 '엡스타인 스캔들 덮기'란 비판도

일각선 이번 기록 공개가 다른 논란을 덮기 위한 '정치적 연막'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트럼프 행정부가 성범죄자 제프리 엡스타인 관련 파일 처리를 두고 지지층 비판에 직면한 상황에서, 대중의 시선을 돌리기 위해 킹 목사 파일을 공개했다는 것이다.

이번 문서 공개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 직후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른 것이다. UPI·연합뉴스

이번 문서 공개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 직후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른 것이다. UPI·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흑인 민권운동가 알 샤프턴 목사는 "엡스타인 파일 문제로 지지층 신뢰를 잃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의 시선을 돌리려는 필사적인 시도"라며 "투명성이나 정의를 위한 결정이 아니다"고 했다. 킹 목사는 1968년 4월4일 테네시주 멤피스에서 인종차별주의자였던 제임스 얼 레이의 총에 맞아 숨졌다. 그러나 레이는 범행 초기에는 범행을 자백했다가 이후 번복하며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다 1998년 옥중 사망했다. 킹 목사 유족들은 "레이 단독 범행이라는 정부 발표를 믿지 않으며, 암살 배후에 거대한 음모가 있다"고 주장해왔다.

이번 문서 공개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 직후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른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존 F. 케네디(JFK) 전 대통령, 로버트 F. 케네디(RFK) 전 법무부 장관, 킹 목사 암살 관련 기밀 기록을 모두 공개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JFK 암살 관련 기록들을 공개했고 4월에는 RFK 기록 일부를 공개했다. 다만 AP통신은 이번 공개 자료가 킹 목사의 삶과 죽음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밝혀내게 될지는 현재로선 분명하지 않다고 전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