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함·발주서 등 위조해 사용
서울시, 4대 예방수칙 마련
최근 공무원을 사칭하며 업체에 물품 대리구매를 요청하고, 물품 대금 명목으로 선입금을 요구한 뒤 잠적하는 사기 행각이 발견되고 있어 서울시가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시는 이같은 공공기관·지자체 공무원 사칭 사기 수법이 서울시와 자치구 부서, 보건소 등을 대상으로 최소 9건 이상 발생했다며 '공무원 사칭 피해주의보'를 발령했다. 이런 사칭 피해는 이번 달 청주시, 안양시, 의정부시, 화성시 등 지자체와 경기소방, 충북소방 등 공공기관까지 확산하고 있다.
서울시는 피해 사례 확인을 위해 긴급 실태조사를 실시했고, 최소 9건의 사례가 확인됐다. 이 중 2건은 실제 금전 피해가 발생했고 7건은 미수에 그쳤다.
확인 결과 이들은 실제 공무원의 발주 요청처럼 보이도록 위조된 명함과 발주서 등을 사용했다. 이들은 피해 업체에서 취급하지 않거나 즉시 발주하기 어려운 물품에 대해 제3의 업체로부터 대리 납품하도록 유도한 뒤 납품 대금을 계좌이체 하도록 유도하는 수법이 가장 많았다.
시는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공무원 사칭 사기 4대 피해예방수칙'을 만들었다. ▲내선번호 확인 ▲발신처·공문 진위 확인 ▲절대 선입금 금지 ▲경찰 즉시 신고 등이다.
시는 앞으로도 공공기관 사칭 사기 수법 고도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관계기관 공조, 시민 홍보를 확대할 방침이다.
김명선 서울시 공정경제과장은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서울시에도 공무원을 사칭한 대리납품 피해가 실제 발생한 것이 확인됐으며, 중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공무원 사칭 사기 시도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물품구매 대행이나 선입금 요구 등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연락을 받으면 거래를 즉시 중단하고 서울시 공식 채널을 통해 진위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